미국은 관세 인상을 시행을 했고 인플레이션
미국은 관세인상을 시행했고 물가상승으로이어질것이
라는 예상도 했을거라 생각이 드는데 왜 이시점에서 연준에 금리인하 압박을 가하고있다고 하는 기사를 봤는데 무엇
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은 관세 인상을 시행을 했고 이것이 인플레이션으로 연결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진단하신 말씀이 맞습니다.
관세 인상은 필연코 미국 내의 물가 인상으로 이어지며
물가가 인상되면 거의 대부분 기준 금리 인상을 하게 되어서
지금 미국이 원하는 금리 인하와는 다른 모습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관세 인상으로 전세계적인 관세가 상호 간 부과되면서 그대로 물건과 서비스 재화 값에 반영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하 정책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가 생각하기에는 현재 미국의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연준은 물가를 잡아야 하는 의무가 있기 때문에 트럼프의 말을 듣지 않는 상황입니다
서로의 주장이 맞는 상황이고 지금 상황은 사실상 스테그플레이션에 빠진 미국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관세인상으로 물가상승은 단기적인 이슈이며 현재 큰 문제는 이로 인해서 주식시장이 박살났고 미국 기업이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이로 인해서 경기침체와 전반적인 급락까지 장기적으로 예상이 되고 있는것입니다.
이로 인해서 트럼프는 지속적으로 시장금리를 낮추고 물가를 낮춰야 한다는 입장과 달러약세를 추구하는 정책을 하는것입니다 즉 기존 경제학과는 다른 모순적인 정책을 원하기 때문에 에너지비용을 공급을 늘려서 낮추겠다는 입장과 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경기침체나 자산시장의 급락을 막기 위해서 금리 인하라는 카드를 추구하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 인상이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으며, 물가에 대한 중력이 밑으로 작용하던 과거에는 물가 상승률이 낮았던 경험적 사례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소비자 물가가 크게 오르지 않았다면 금리 인하를 고려하는 것도 합리적입니다. 또한, 경제 활성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논리가 있으며, 관세의 영향이 일시적이라고 판단되면 금리를 인상할 필요는 없다는 관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관세와 금리 policies 간의 상호작용이 복잡하며, 다양한 경제적 요인들이 연준의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로 인해 파월의장은 인플레이션 발생을 주장하고 예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트럼프는 상호관세에 대해 인플레이션이 없을거라 생각하며 2달 이내 에너지가격 하락, 인플레이션 하락, 계란 가격 하락, 고용율 상승 이라고 주장하면서 현재 급락하는 미국 증시를 보며 금리인하 압박을 주장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