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론중 오쿤의 법칙은 현시대에도 적용가능한 법칙인가요?
60년대 오쿤의 법칙이 나왔고
고용과 국민총생산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이라 알고 있습니다
60년대에 비해서 고용의 형태도 달라졌고
기술의 발전이 더해져서 생산성이 증대했는데
오쿤의 법칙은 현시대에도
고용과 국민총생산의 관계에 대해서
일정부분 적용가능한 이론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과 경제성장률 간에 성립하는 역의 상관관계, 즉 실업률이 감소하면 경제성장률이 일정 비율로 상승하고 실업률이 상승하면 경제성장률이 일정 비율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쿤의 법칙과 같은 경우 경험적으로 증명한 것이어서 과학적이지 않고
이론적 근거가 미약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하지만, 법칙이라 부를 만큼
실업률과 경제성장률의 상관관계는 밀접하고 안정적이라는 평가도 받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쿤의 법칙은 현대에도 여전히 적용 가능한 법칙입니다. 경제는 불확실하고 변동성이 큰 영역이기 때문에, 개인이나 기업이 경제적인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오쿤의 법칙은 이러한 대응 방식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쿤의 법칙은 성장률이 장기 추세성장률보다 2%포인트가량 더 높게 나타날 때마다 실업률은 1%포인트 줄어드는 말하는데요 요즘은 실업률이 더 크게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거 같습니당!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쿤의 법칙이라는 건 경제학자 오쿤이 발견한 것인데 경기회복기에 고용의 증가속도보다 국민총생산의 증가속도가 더 크고 불황기에는 고용의 감소속도보다 국민총샌산의 감소속도가 더 크다는 걸 말해요.
이러한 오쿤의 법칙은 지금의 경제 상황에서도 일정부분 적용이 가능하다고 보시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