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통위에서 하반기 국내 금리인하 전망과 이야기가 자꾸 언급된 배경이 무엇인가요?
이번에 시장금리는 예상대로 동결이 되었는데요. 하지만 향후 전망과 관련해서 크게 시장에서 이슈가 되었습니다. 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상당수의 위원들이 국내 금리인하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이러한 이야기가 꽤 오랫동안 언급되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금통위의 상당수의 위원들이 국내 하반기 금리인하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고 금리 인하시나리오가 본격적으로 대두되고 있는것인지 그 경제적 근거와 전망이 궁금합니다.
한국은행의 금통위에서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능성과 이로 인한 달러환율의 하락으로 인한 것인데, 미국의 금리로 인해서 우리나라가 금리를 먼저 내리는 경우에는 달러환율이 크게 상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보이자 우리나라 또한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에요.
다만 다시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미국의 금리인하가 하반기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또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0에 가깝다고 볼 수 있어요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정하는 요소는 크게 2가지라고 봅니다.
첫번째는 우리나라 경제상황입니다. 우리나라 물가상승률과 경기침체 상황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합니다.
그런데 지금 약간의 고금리로 인해 부동산 pf 문제와 2금융권 위기가 우려되고있습니다. 우려에서 끝난다면 괜찮지만 연쇄 도산이 발생한다면 금리인하를 해야할수도 있습니다.
두번째 고려요소는 미국 기준금리입니다. 미국은 올해 말까지 동결이 예상되는데 우리나라 금리만 내린다면 자본이 유출되어 환율이 높아질것입니다 이런 상황을 원하지않기때문에 가급적 미국 기준금리 인하를 지켜본뒤에 우리나라 금리를 결정할것같습니다.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금리인하 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만 선제적으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금리인하가 이루어져야 우리나라 또한 금리인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