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다은다훈맘
다은다훈맘23.03.15

먹구름이 있으면 비가 오는 이유가 궁급합니다.

옛날부터 먹구름이 몰려오면 비가 올거라고 하고..

하얀구름이 있으면 비가 안올거라고 하잖아요.

왜 먹구름이 있으면 비가 온다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구름이 두껍다는 의미입니다.

    태양 빛이 구름을 통과하며 구름에 의한 빛의 흡수가 많아서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구름이 얇은 경우 빛의 흡수가 적기 때문에 희게 보이는 것이죠.

    때문에 두꺼운 구름은 비를 내릴 확률이 높은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수증기가 많아져서 물방울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하늘을 덮는 구름입니다. 먹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간단합니다. 따뜻한 공기가 습한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습한 공기와 충돌하면 습기가 응축되어 먹구름이 형성됩니다.

    비가 오는 원리는, 먹구름 안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 입자가 더 커지면 중력에 의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이것을 우리는 간단히 "비"라고 부릅니다. 즉, 비가 오려면 먹구름 안에 있는 수증기가 충분히 큰 구름 입자로 응결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먹구름 안에 있는 수증기가 충분히 커지지 않으면 비가 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때는 먹구름이 지나가면서 먹구름 안에 있는 수증기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비가 내리기도 합니다.

    또한, 먹구름 안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 입자가 형성될 때, 일부 구름 입자는 고기능성 핵(nuclei)이라 불리는 먼지나 오염물질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먹구름이 지나가면서 이러한 먼지나 오염물질이 지면에 떨어져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먹구름 안에 있는 수증기가 충분히 커지고, 충돌하는 공기의 열이 충분히 많아져서 수증기가 응결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면 비가 내리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많으면 햇빛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해서 어두워 보이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먹구름은 아주 두꺼운 구름^^;;입니다.


    먹구름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님니다. 풍속 기온 기압등 여러가지

    요인이 잘 맞아 떨어지면 비가 억수 같이 내리고 아니면 먹구름이 있는데도 비가 안 오는 수가 있지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이 비가 올 확률이 높은 이유는 먹구름이 형성되는 과정 때문입니다.

    먹구름은 수증기가 많은 공기가 높은 곳에서 차가운 공기와 만나서 상승기류를 만들고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됩니다. 이때 먹구름 안에 있는 수증기 결정체들이 서로 충돌하고 붙어서 더욱 커지고 무거워져서 지면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이 비나 눈의 형태로 내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먹구름은 수증기가 많이 응축된 구름으로, 비나 눈으로 내리기 적합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얀 구름은 대부분 수증기가 많이 응축되지 않은 구름으로, 비가 내리기 적합한 상태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에 수분이 대기권으로 올라가서 구름으 형성하고 이게 점점 많아지면 먹구름이 만들어 집니다. 참고로 먹구름은 빛이 잘 안통하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겁니다. 즉 먹구름은 수분을 아주 많이 머금고 있는 구름입니다. 따라서 자체가 비가 올수 있는 충분한 환경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