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교통사고 과실

슬기로운애벌래183
슬기로운애벌래183

교통사고로 손괴 증명 어떻게 해야 할까요?

6월경 신호위반 차량에 치여서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당시에 제가 들고 있던 기타가 날아가면서 박살이 났는데

오늘 보험사에서 전화가 와서 물어보니 구입한 날로부터 얼마나 사용 하였는지에 따라서

보상 가격이 내려간다는데 제가 이런 사고가 난게 처음이라..

-질문 1번 입니다

보험사에선 구입한 날짜와 파손당한 사진이 필요하다는데 이거만 있으면 배상 받을 수 있는 걸까요?

직접 커스텀한 수제 기타라 상시 판매하는 물건도 아니고 다시 구매도 불가능하고

따로 증명할 영수증이나 이런게 필요하다면 골치아파질 거 같은데 이런게 필요할까요?;;

교통사고 당한것도 억울한데 받아야 할 것도 못 받는다면 정말 화날거 같네요 ㅠ-

질문 2번 입니다

제가 교통사고 나면서 원래는 타박상만 있다가 왼쪽 무릎 관절 반월판에 문제가 생겨서 계속 병원을 다니고 있는데

이건 따른 진단명은 없는데 이런것도 제가 손해가 발생했다는걸 증명할 방법이 있을까요?

사고 이후로 스케줄도 다 박살나고 없는 시간 쪼개서 병원 가는것도 스트레슨데

반월판 파열 이런 진단명은 없고 계속 관리하고 병원 다녀야 합니다

대신 관리 못하면 만성으로 간다는데 정말 짜증나네요

5분만 걸어도 왼쪽 다리부터 발까지 쭉 아파오고 건강한 20대 청년인데 하루 아침에 이렇게 된게 하..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보험사에선 구입한 날짜와 파손당한 사진이 필요하다는데 이거만 있으면 배상 받을 수 있는 걸까요?

      : 네 물건의 보상의 경우에는 해당 물건의 파손 여부와 그 파손에 따라 수리가능여부등을 판단하여야 하고,

      수리가 안될 경우에는 중고시세에 따라 보상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해당 증명자료가 없다면, 없다고 이야기하시고 해당 관련 물건의 중고시세에 따라 보상을 받으시게 됩니다.

      제가 교통사고 나면서 원래는 타박상만 있다가 왼쪽 무릎 관절 반월판에 문제가 생겨서 계속 병원을 다니고 있는데

      이건 따른 진단명은 없는데 이런것도 제가 손해가 발생했다는걸 증명할 방법이 있을까요?

      : 우선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다면 그에 따른 진단을 받으시면 됩니다.

      파열이라면 검사결과에 따라 진단이 나옵니다.

      만약 진단이 되지 않는다면 그에 따른 것은 슬관절 염좌로 보상을 받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기타 등 대물(물건)의 경우 감가액을 적용하기 때문에 구입 시기 및 금액등에 대한 입증이 필요합니다.

      구입 영수증이나 파손 전, 후 사전 등이 있다면 이를 통해 입증이 가능합니다.

      대인의 경우 연골 파열 진단이 나오지 않았다면 공식적으로 연골 관련 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 다시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MRI 검사를 했다면 검사 결과를 가지고 대학 병원등 큰 병원으로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석 손해사정사입니다.

      질문1에 대하여

      보험회사가 요청한 자료를 협조하여 주시고 감가된 부분에 대하여 보상을 받으시는 것이 적절합니다.

      다만 커스텀제작상품, 상시판매되는 상품이 아닌경우에는 그 값어치를 정하기 어려우므로 보험회사에서 요청한 영수증과 파손사진이 없다면 보상받기 어려울 듯 합니다.

      질문2에 대하여

      무릎의 반월상연골파열로 인해 단순히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손해를 입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치료병원의 향후치료비추정서를 요청하시고 향후 치료기간에 대하여 소견 받으신다면

      사고로 인한 휴업손해, 부상위자료, 향후치료비 등을 보상받을 수 있으실 것으로 판단 됩니다.

      5분만 걸어도 통증이 지속되어 보행의 장애가 있는 경우라면 전문의와 상의하여 추가 검사를 받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