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화려한호저248
화려한호저24822.11.22

미국금리보다 한국금리가 낮은 이유가 뭘까요?

미국 금리에 연동해서 한국금리도 인상하는 기조인 것으로 확인되는데,, 국내 금리가 평균적으로 미국금리보다 낮게 유지되는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보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낮게 적용되고 가장 큰 이유는 '국내의 부채리스크' 때문에 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규모는 1,900조원이며 이 중 변동금리의 비율은 80%가 넘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기업들의 대출비중도 전년도 대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지난 문재인정부의 핵심사업 중 하나였던 '태양광대출'들 또한 변동금리 비율이 90%인데 대출규모가 100조원에 달하기 때문에 금리인상을 할시에 내부적으로 부채폭탄들이 터져서 경제위기가 먼저 초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을 따라서 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PF대출에 대한 부실화가 대두되면서 PF대출을 차환하기 위한 채권발행의 금리도 금리상승에 영향을 받게 되면서 자칫 잘못하다가는 PF대출의 부실화와 함께 중소건설사, 저축은행의 연이은 도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실 중소건설사와 저축은행의 도산은 내년 상반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나 인공호흡기를 달고 연명하고 있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게다가 저축은행들의 높은 금리 예금은 '폰지사기'에 가까우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위와 같은 일련의 내용들로 인해서 우리나라는 금리를 빠르게 올리지 못하고 있어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되었고 이는 환율의 상승으로 이어져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 상승이라는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정책은 각 국가에서 국가별 상황에 맞게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은 언제든지 우리나라가 미국에 비해 기준금리가 낮을수도 있고 높을수도 있는 것입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있었는데, 이는 금리역전 현상으로 인한 외화유출을 막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었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미국의 경우 여러 경제위기가 있을 때 극단적인 금리인상이나 금리인하를 하여도 버틸 수 있는 힘이 있기 떄문에 그렇고 우리나라는 국가의 경제상황에 비추어 미국과 같이 극단적인 정책을 펼칠수는 없기 때문에 현재 금리역전 현상이 나왔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에 비하여 높으나 최근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현재 우리나라가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2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금리차이가 나는 이유는 보통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0.25%포인트 인상이 관행이었고, 0.5%포인트 인상도 이례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조치로 미국이 금리를 0.75%씩 올렸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미국 인플레이션이 심각하다는 방증입니다.


  • 안녕하세요.

    꼭 그렇진 않습니다 . 그렇지만 미국의 연준이 금리를 올린다는건 인플레를 막겠다는건데

    대한민국도 미국의 시장과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상황이 비슷비슷하기때문입니다

    통상적으로는 외국인들의 투자자금이탈을 막기 위해서 유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