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국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낮은 이유는 뭔가요?

한국의 기준 금리가 미국 기준 금리보다 낮으면 외화 유출이 심해지는 것 아닌가요?

한국 기준 금리를 미국 기준 금리보다 더 높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항상 미국 금리 인상폭보다 작게 올리던데 이유가 있나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급격히 올리기 어려운 이유는 우리나라의 가계대출 금액이 많고 변동대출이 많기 때문입니다. 미국처럼 급격히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부채상환 부담의 급격한 증가로 경기의 급락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우 물가상승률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인상을 진행하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물가상승률 폭이 심하고, 우리나라는 가계부채가 커 금리를 급격히 상승할 경우 채무불이행상황이 급격히 증가하는 바 미국대비 낮은 금리를 유지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상적으로 외화유출를 예방하기 위해서 미국보다 약 1%정도 기준금리를 높게 가져갑니다만, 이번 금리인상 사이클은 미국에서 워낙 큰 폭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한국은 가계부채 규모가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미국이상으로 금리 인상을 가져가는 경우, 한국 경제 전반적으로 약영향이 크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못한 것 입니다.

      작년에 환율이 1450원까지 급등한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미국 연준에서 물가를 잡기 위하여 급격한 금리인상을 하였으나

      우리나라가 이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