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곰살맞은페리카나184
곰살맞은페리카나18422.04.18

성대 색깔이 검은 것은 어떤 상태인가요..?

나이
3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얼마전부터 목이 안좋아서 이비인후과에서 성대를 내시경으로 검사했는데

다른 구조적 문제는 없다고하면서 진성대의 아래쪽 3/1정도가 어두운 다소 까만 색이라고 하시면서

윗부분의 밝은 노란색 과 대비되는것을 강조하시면서 따로 치료는 필요없다고 물많이 마시고 3개월후에 경과 봐보자고하시는데

이 상태에 대해서는 어디 봐도 알수가 없더라구요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건지 아니면 특별한 문제가있는건지....자연회복이 될 수 있는건지....

노래 부를때 갑자기 힘이 빠지듯 소리가 끊기는 느낌이 들때가 있습니다...

이런느낌이였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강한 성대는 진주와 같은 하얀색을 띄고 있습니다. 후두경을 통해 보았을 때에 성대가 어두운 색깔이라면 정상적인 소견은 아닙니다만, 그렇다 하여 당장 특별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것 또한 아닙니다. 흡연 등의 요인이 영향을 주었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시간이 경과하면 서서히 원래대로 돌아올 수도 있으므로 이비인후과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로서는 해당 부위에 대해서는 내시경으로 직접 들여다보고 진료를 본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가장 잘 알고 있을 것 같습니다. 의구심이 생긴다면 재내원하시거나 다른 병의원에서 다시 한번 진찰받아 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대 색깔의 변화가 질병과 관련된 것인지에 대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성대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성대 결절, 성대 종양 등이

    있고 뇌경색, 뇌출혈 후 성대 마비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그런데 성대 마비는 성대 안을 확인만 해도 알 수가 있고 성대 결절이나

    종양 역시 성대를 들여다 보면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문제가 아닌

    경우 뚜렷한 치료가 있거나 성대에 부담을 주면서까지 조직 검사를 진행

    하지는 않게 됩니다.

    성대 역시 근육으로 노래를 부를 때 언제나 이전처럼 성대의 탄력성이

    유지되는 것은 아니어서 색의 변화가 원인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간혹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한 위산 역류로 인해 성대 색의 변화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4.20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해당 검사를 직접 시행한 의사분이 명확한 설명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물리적인 자극 등으로 인해 경한 염증이 동반된 조직의 경우 정상조직보다 붉거나 짙은 색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노화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도 있으며 염증이나 감염의 가능성도 낮지만 가능은 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검다는것을 질병으로 보진 않습니다.

    노래부를때 힘이 빠지듯 소리가 끊기는 느낌도 성대의 색깔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3개월 후에 경과보시면 될것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근수 의사입니다.

    탄툰 등을 통해 가글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증상이없다면 지켜보셔도 됩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주세요. 답변 달아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글쎄요 저도 처음들어보는데요

    성대가 검은색이라는것은요.

    일반적으로 조직이 검은색이라면 두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1. 조직에 혈류 공급이 되지 않아서 괴사가 일어남

    2. 조직 점막에 모반이 형성됨 (-피부로 치면 점이 생김)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사진으로 찍어서 보여주시면 상황 판단이 쉽겠습니다.

    사실 해당 부분에 대해서 제일 잘 아시는건 이비인후과 전문의 선생님입니다. 목안을 제일 많이 보시니깐요.

    정상소견을 매일 보면 비정상소견을 판단하기 쉽습니다.

    주변에 다른 이비인후과를 한번 더 방문하시고 진료를 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