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에 의해서 먼지가 붙는건 어떤 원리로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정전기에 의해서 먼지가 붙는건 어떤 원리로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마찰에 의한 정전기는 마찰을 해서 음전하 양전하가 되면서 끌어 당기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먼지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정전기가 발생되는것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마찰에 의해서 한쪽에 전자가 몰리면서 발생됩니다. 그럼 한쪽은 양전하가 다른 쪽은 음전하가 생기면서 그것들이 다른극이여서 서로 끌어 당기게 되는데요. 먼지의 경우 중성이여서 양전하인 물체가 다가가면 먼지가 가까운쪽은 음전하가 되면서 서로 끌어 당겨서 정전기로 먼지를 제거할수 있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생기면 어떤 물체는 음전하, 어떤 물체는 양전하를 띄게 되는데, 이 때 정전기를 띈 물체가 주변의 중성인 먼지를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게 됩니다. 먼지는 보통 중성이지만 정전기를 띈 물체 근처에 가면 먼지 안에서도 전하가 살짝 이동해서 정전기를 띈 물체와 서로 반대되는 전하 쪽으로 끌려가는 성질이 생깁니다. 정전기를 띈 물체가 자석처럼 먼지를 잡아당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tv나 모니터, 플라스틱 같은데는 먼지가 잘 들러붙는것입니다.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정전기에 의한 먼지 부착은 마찰로 인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물체 표면에 음전하 또는 양전하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먼지도 정전기를 띄게 되면 서로 다른 전하를 가진 것끼리 강하게 끌어당기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먼지의 입자와 물체 표면에 생긴 전하의 전기력 인력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먼지는 아주 작은 입자 이지만 표면에는 약간의 전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상대 물체 표면에 전하가 상반되는 극성을 갖는다며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됩니다.
이를 쿨롱 힘이라고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정전기에 의해 먼지가 붙는 원리는 물체가 마찰로 인해 정전기를 띠면 그 표면에 전하가 쌓이게 되고 이 전하는 주변 공기 중에 떠다니는 극성 유도전하를 가진 먼지 입자를 전기력으로 끌어당기기 때문입니다 먼지 입자 자체가 전하를 띠고 있거나 중성이라도 정전기장에 의해 유도되어 반대 전하 쪽으로 끌려가면서 표묜에 달라 붙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