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굳센왕나비21
굳센왕나비2121.11.21

처방받은 약도 유통기한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병원에서 각종 질환으로 처방을 받고 약을 조제 했을때 집에서 응급약으로 보관을 하는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처방받은 약도 유통기한이나 섭취가능 기한이 있을까요??

만약에 보관 후 먹는다면 얼마나 보관이 가능하고 약효는 있을지 궁금합니다. 약 봉지에도 유통기한이나 섭취 가능 기한이 명시 되면 좋을꺼 같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갖고계신 약이 일반적인 정제같은 알약이라먼

    1. 한번이라도 개봉된 약통에 들어있으면 조제일로부터 1년

    2. 포장된 상태로 존재한다면 조제일로부터 60일(출처: 미국약전)

    3. PTP상태로 받았으면 약품 포장겉면의 유효기간에 따르시면 되겠습니다.

    그 외에 다량이 든 시럽 병은 6개월, 나눠 담긴 시럽 병은 1개월, 가루약은 제조한 날부터 6개월, 연고제도 6개월을 개봉 후 사용가능기간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의약품의 유효기간은 약품의 주성분함량이 95~105%를 유지할 수 있는 통상적인 기간을 의미합니다. 즉 유효기간이 오래 지날수록 의약품을 복용하시면 약 효과가 떨어질 확률이 큽니다. 증상이 안좋으시다면 굳이 유통기간이 불확실한 의약품 복용보다는 새로 약을 처방받거나 구입하시는것을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알약이 알루미늄으로 각각 포장되어 있는 압박포장(PTP)의 경우 표기된 유통기한 만큼 사용할 수 있고,

    약포지에 들어 있는 약의 경우 6개월 정도가 유효할 수 있지만, 보관상황이나 위생상태에 따라 더 짧을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용한 약사입니다.

    물론 처방받은약도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포한포 조제받으신 약은 조제받으신날로부터 6개월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구요, 원래 약 포장 그대로 받았거나, 하나씩 까먹는약이나, 한포씩 되어있는 제품들은 제품에 유통기한이 표기되어 있으니 건조하고 서늘한곳에 보관만 제대로 한다면 적혀있는 유통기한까지 사용하셔도 되겠습니다.

    오래되면 될수록 약효는 떨어진다고 보시면 되고 보관상태에 따라 변질부패가 일어날 수 있으니 너무 오래된약은 그냥 버리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김보영 약사입니다.

    조제된 약은 조제후 6개월 안에 드시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직사광선을 피해 습기없는곳에 보관한다면 1년 까지도 드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약들은 가까운 약국에 가져가셔서 폐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뜯지않은채로 통째로 받은 약들은 통이나 ptp윗면에 적힌 유통기한 내에 드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수 약사입니다.

    -

    현재와 같이 유산지나 비닐 포장 등으로 재포장 과정을 거쳐 조제 받으신 경우

    조제일로부터 3-6개월 정도를 사용기한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경구제는 상온에 보관하시면 되고, 흔히들 냉장고에 보관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하시는데,

    냉장고는 습도가 높고 음식물에 의해 미생물 증식이 쉬운 환경이기 때문에

    의약품을 냉장고에 보관하시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건조하고 서늘하며 햇볕이 잘 들지 않는 환경에 보관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습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네 있습니다.

    1. 알약 통을 원통으로 받았을 시

    (개봉 시점부터 1년이내)

    2. 알약 원통을 다른약통에 수량만큼 덜어서 담아준 알약의 경우

    (6개월 이내)

    3. 원래 포장이 PTP, 블리스타 낱개 포장인 경우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

    4. 원래의 시럽제(물약)을 원통 그대로 받으신 경우

    (개봉후 28일 이내)

    5. 한가지 시럽제를 작은 투약병에 용량을 맞춰 덜어서 조제해준경우

    (14~28일 이내)

    6. 투약병에 두가지 이상의 시럽제를 혼합해서 조제해 준 경우

    (14일 이내)

    7. 건조시럽제(가루형태, 주로 항생제)를 물에 타서 물약을 만든경우

    (14일 이내)

    (하지만 항생제마다 물을 타고나서부터 유효기간이 줄어드는데, 종류마다 다르다 7일인 것도 있음)

    (오구멘틴시럽은 냉장보관으로 7일까지, 포리부틴드라이시럽은 상온에서 15일까지)

    8. 알약을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60일 이내)

    9. 원래의 튜브형 용기에 담겨진 연고류를 그대로 받으면

    (6개월 이내, 뚜껑 잘닫아야함)

    10. 연고류를 조제용 연고곽에 덜어서 담아준 경우

    (30일 이내)

    11. 알약을 갈아서 가루약으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30일이내, but 가루약 종류에 따라 훨씬 짧아질 수 도 있다)

    12. 멸균제품인 안약, 안연고

    (개봉 후 28일 이내, 보존제 함유한 멸균제품에 해당함)

    13. 1회용 사용안약은 보존제가 없으므로 사용후 바로 폐기

    14. IV(정맥주사), 주사제, bag 은 개봉후 1시간 내에 투여해야한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처방된 약에도 유통기한이 존재합니다


    알약으로 조제된 약은 3개월~6개월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가장 정확한 유통기한은 처방일수까지라고 말씀드릴 수 있어요

    약국마다 남아 있는 약의 유통기한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루약은 1개월입니다

    가루약 보관방법은 서늘한 곳에 보관하시는 게 좋고

    복합적으로 섞여 있을 수 있으니 복용 중단하시면 폐기하심이 좋습니다


    일반 물약도 1개월이고 역시나 복용 중단시 폐기하시면 되지만

    해열제 같은 경우엔 필요하실 때 사용하실 수 있고요

    항생제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2주입니다


    안약이나 안연고는 1개월,

    그냥 연고는 개봉시 6개월

    나잘스프레이는 2-6개월

    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인배 약사입니다.

    처방을 통해 받으신 약, 약포지에 포장형태로 받으신 약의 경우 3~6개월을 그 유통기한으로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한이 지났을 경우에는 폐의약품으로 처리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보건소나 약국에서 폐의약품을 수거하고 있기 때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처방받은 약의 경우 약 원통 그대로 받은 경우 개봉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 이며 PTP와 같이 낱개포장으로 경우 포장재 겉면에 표시된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합니다.

    알약이 개봉되어 조제된 상태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습기와 빛에 노출되어 약효저하 및 변질이 일어날 수 있기에 조제일로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물약의 경우는 팩포장의 개봉되지 않은 제품은 제품 포장지에 기재된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하며 약국에서 덜어서 받아온 개봉된 제품은 처방일로 부터 한달 유효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제품은 약물의 반감기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고 변질의 우려가 있기에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

    처방약 유통기한은 처방용법에 의한 총 복용기간이며,

    병원에서 처방받아 조제한 알약은 이미 조제 과정에서 외부 공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2개월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병원에서 각종 질환으로 처방을 받고 약을 조제 했을때 집에서 응급약으로 보관을 하는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처방받은 약도 유통기한이나 섭취가능 기한이 있을까요??

    만약에 보관 후 먹는다면 얼마나 보관이 가능하고 약효는 있을지 궁금합니다. 약 봉지에도 유통기한이나 섭취 가능 기한이 명시 되면 좋을꺼 같네요

    - 보관을 잘 하시면 3개월까지는 복용해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대략 6개월까지만 보관하시고 넘으면 폐기해야 안전합니다.

    2. 보관조건이 완벽하다면 유통기한까지 복용할 수 있지만 가정에서는 온도, 습도가 바뀌기 때문에 실제 복용할 수 있는 기한이 짧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약포지에 소분되어 포장되어있는 약의 경우 유효기간이 약마다 다르긴 하나 보통 3-6개월 정도 외관에 문제생기지 않으면 사용가능합니다.

    다만 처방약의 경우 향후에 재사용하여 드시는 것은 일반적으로 권유드리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비닐봉투에 조제된 약은 조제일자로부터 6개월까지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기한은 더 길지만 보관조건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6개월이 지나지 않았는데 성상이 변한 경우에도 복용하시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희재 약사입니다.

    개봉하지 않은 알약을 온통 그대로 받은 경우 - 1년이내

    개봉되어 처방된 알약 - 6개월-1년

    하나씩 까서 먹는 PTP - 유효기간까지

    안연고,점안액 - 개봉후 1개월

    크림,연고류 - 개봉후 6개월


  •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

    처방받으신 약 중 비닐로 포장된 같은 경우는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1년까지도 보관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보통 6개월 정도까지만 보관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PTP 포장으로 조제받으신 경우에는 유효기간 이내로 사용하시는 것은 문제 없겠습니다.

    간혹 약을 냉장고에 보관하겠다는 분들이 있으신데, 인슐린 주사나 일부 냉장이 꼭 필요한 약들을 제외하고는 실온에, 햇볕이 직접적으로 들지 않는 곳에 보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소정 약사입니다.

    처방받으신약중 조제해서 포장한 알약의경우 25도이하 습도60% 이하의 조건에서 6개월간 가능하고

    개봉안한 통약 혹은 ptp의 경우 유효기간까지 보관가능합니다

    냉장보관시럽은 소분한경우 1주일, 일반 개봉 혹은 소분시럽은 1달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명확한 유통기한을 논하기에는 어렵지만 일반 약봉지에 포장된 약이라면 보통 1년정도를 사용권장기한으로 봅니다. 물론 올바른 보관조건에서 보관이 되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