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 아이의 언어습관, 어떤식으로 교정해줘야 할까요?
가정환경이 조금 다른 친구를 만나서 잘지내다보니, 그 아이의 말투를 많이 따라합니다. 알았다고. 시끄러.라는 거친말투로 부모한테도 그러고, 조부모한테도 이런식으로 하는데 일시적일지, 아니면 교육이 필요할지요...좋은 말투는 아닌듯해요. 알았다고~^^이게 아니고. 알았다고!!!!!!!!!!이런 말투요..
7세 아이의 언어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가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야단을 맞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혼 안낼테니까 사실대로 말해봐' 이렇게 말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겁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민주적인 양육태도로 아이와 관계 형성을 우선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평소 아이의 행동이나 말을 공감해준다면 아이는 잘못했을 때에도 사실대로 말할 것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을때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나 말을 관찰한 사실대로 이야기하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하고 '다음부터는 잘못하거나 실수를 해도 사실대로 말해줬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며 마무리합니다. 대신 화난 어투가 아닌 차분하게 이야기하는게 중요합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나 말을 있는 그대로 말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양육자의 바라는 점을 이야기하면서 끝맺는게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우리 집 가정과 다른 환경의 아이를 만났다면 아이의 행동과 언행에 있어서 그 아이를 따라 할 수는 있겠습니다,
하지만 가정환경이 우리 가정과 다르다고 해서 그 아이를 무조건적으로 따라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환경이 좋지 않다고 해서 친구가 나쁜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에 아이가 좋지 않은 언행을 했다면 아이의 모든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방 안으로 데려가서 지금 한 언행은 잘못된 행동이야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고, 왜 지금 내뱉은 언행이 좋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 눈높이에 맞춰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친구들을 만나게 되면 언어가 거칠어 지게 될겁니다. 이는 아이들이 미디어에 노출이 되기 때문에 거친 단어를 많이 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훈육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좋지 않은 단어들은 사용하지 못하게 해주시는게 중요합니다. 이렇게 훈육을 해주지 않으면 아이들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알 수 없으니 계속해서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가정 교육이 바르지 못한 아이들은 환경이 좋지 못해 거친말을 하고 친구 부모님께서 평소 말투가
아이들이 배우기 적당한 언어를 사용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말투가 좋지 못한 아이하고 계속 어울리다 보면 자녀도 따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아이들은 좋은 것 보다 나쁜 행동이나 말을 쉽게 배우기 때문이죠
아이의 친구가 개선의 여지가 없다면 친구와 거리를 두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님과의 바른언어 연습이 필요합니다. 부드러우면서 완곡한 표현 방법을 지도해주셔야 합니다. 상대방에게 따뜻하게 말했을때, 상대가 긍정적인 감정을 느낀다는것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들은 대화를 하면서 편견이 없이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게되므로,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바람직한 언어 사용 규범을 습득하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모범이 되는 말투를 보여주시고, 자연스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좋은 말투를 사용 했을때는 칭찬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나쁜 말투는 쉽게 고쳐지지 않으니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지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거친 말투를 사용하는데 부모님의 모델링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우선 아이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 주시며 이야기를 하고 거친 말투를 사용하면 안된다고 단호하게 말씀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자녀에게 언어 습관 개선 교육을 실시해보세요. 예를 들어, "감사합니다", "죄송합니다"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법을 알려주거나,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는 태도를 강조해주세요.
자녀가 좋은 언어 습관을 유지할 때마다 보상을 제공해주세요. 보상으로는 용돈이나 선물 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나쁜 언어 습관을 반복할 때는 제재 및 처벌을 가해주세요. 다만, 처벌보다는 훈육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일관성 있게 시행해야 효과적입니다.
자녀에게 롤 모델을 제시해주세요. 부모님이나 주변 사람들이 좋은 언어 습관을 보여주면 자녀가 이를 참고하여 자신의 언어 습관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자녀의 언어 습관을 체계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방법을 통해 자녀의 언어 습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꾸준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합니다. 또한, 가정 내에서의 역할 분담과 협력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주변의 환경에 따라 행동이나 말투가 달라집니다. 아이가 평상시 쓰지 않는 거친 말투의 언어를 쓸때는 그즉시 아이를 앞에 앉혀놓고 거친 말투의 언어를 쓰면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수 있다는 것을 아이의 눈높이에서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친구들이나 어른들에게 말을 할때는 올바르게 언어표현을 쓰도록 가르쳐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쓰는 말투나 행동은 한번 교육을 한다고 해서 고쳐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꾸준하게 관심을 가지고 상황에 따라 교육을 하시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7세 아이의 언어습관을 교정하려면 긍정적인 모델링과 일관성 있는 피드백이 중요합니다. 부모와 교사는 아이에게 올바른 언어 습관을 보여주고 잘못된 표현을 사용할 때 부드럽게 올바른 표현으로 수정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