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세계전쟁과 2차세계전쟁에서 사용되었던 전투식량은 무엇이 사용되었나요?
세계전쟁이 1차와 2차로 이어졌고 그 특성과 이유가 다른데,
1차 세계전쟁과 2차 세계전쟁에서 사용했던 군인들의 전투식량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1차 대전 중 영국군은 소금에 절인 쇠고기 통조림, 건빵, 빵, 머카너키 스튜과 소량의 채소 등을 사용했습니다. 다른 나라도 통조림 고기, 건방. 말린 과일 등 유사했습니다.
2차 대전 중에는 미군은 C레이션(고기, 야채, 통조림, 비스켓, 인스턴트 커피, 사탕, 껌, 담배 등), K시레이션(압축 시리얼바, 치즈, 고기, 비스킷 등)이며, 독일군은 '강철식량'으로 통조림, 초코릿바, 과일바 등입니다. 그리고 영국군도 고기 통조림, 건빵 등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된 전투식량은 병사들의 이동 방식, 물자 보급 상황에 따라 달라졌지만, 공통적으로 병사들이 장기간 전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보존성이 높은 식품이 중심이었습니다.
1차 세계대전에서는 참호전이 주된 전투 방식이었기 때문에, 식량 보급이 어렵고 제한적이었습니다.
주로 통조림 식품, 말린 고기, 딱딱한 비스킷, 건조 콩이나 완두콩, 말린 감자 등이 제공되었습니다.
식사는 영양을 공급하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맛이나 다양성은 거의 고려되지 않았고, 식량의 부족과 품질 문제로 병사들의 사기는 종종 낮아졌습니다. 물과 차도 보급되었으며, 일부 병사들은 술이나 담배도 지급받았습니다.
2차 세계대전에서는 보급 체계가 더욱 발달하면서 전투식량의 종류와 질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미국의 경우, K-레이션(K-Ration), C-레이션(C-Ration)과 같은 전투식량이 개발되어 보급되었습니다.
K-레이션은 개인이 하루 동안 소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키지로, 통조림 햄, 크래커, 건조 과일, 껌, 커피 분말, 설탕, 초콜릿 바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독일, 영국, 일본 등도 각자 국가 상황에 맞춘 전투식량을 개발했으며, 말린 국수, 즉석 스프, 쌀, 통조림 육류, 과자류 등이 사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