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고급스런반딧불260
고급스런반딧불26021.06.02

코로나 증상은 아닌거같은데...

머리가 조금 어프고 맑은 콧물이 나며 편도가 부었습니다

열은 36도 정도 입니다 감기 증상 같은데 코로나 검사 받아야될까요?? 아니면 내과 진료를 받아야될까요

약만 먹어도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코로나19의 잠복기는 1-14일, 평균 잠복기는 5-7일 입니다.

    잠복기란 감염 이후 증상이 나타나기 까지의 시기를 말하는 것으로 감염 후 빠르면 1일 최대 14일 이내 증상이 나타난다는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임상 증상은 무증상에서 부터 경증, 중등증, 중증까지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 마른 기침, 피로이며 그 이외에도 후각이나 미각 소실, 근육통, 인후통, 콧물, 코막힘, 두통, 결막염, 설사, 피부 증상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보통 경미하며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개인마다 동반 증상에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기간 위험지역에 다녀오셨거나 의심되는 접촉이 있는 경우 가까운 선별검사소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감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서 보통 코로나바이러스나 라이노 바이러스같은 것들이 비인두에서 감염을 일으켜서 콧물 및 인후통 등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 바이러스를 죽이는 약은 쓰지 않기 때문에 결국 몸의 면역이 이 바이러스를 이겨내는 데 까지 일주일 정도의 시간이 듭니다. 그 시간 동안 여러 증상을 줄여주기 위해 기침약, 콧물약, 소염제, 진통제 등을 사용 하는 것입니다.

    혹시나 세균성 감염이 있다거나 감기와 합병되어 있다면 항생제를 쓰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가 부었을 경우에 편도선염 일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은 몸의 저항력이 떨어졌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해요.

    편도선염은 대부분 충분한 휴식, 수분 섭취, 증상 조절을 위한 소염진통제 복용 등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면 치료됩니다. 그러나 합병증이 의심되거나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항생제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가까운 이비인후과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확진자와 접촉한 적이 없다면

    가벼운 감기증상일 수 있으니 타이레놀 등의 감기약을 복용해 보는 것이 방법입니다.

    코로나 증상과 감기증상은 확실한 구분이 어려워 필요하다면 코로나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정확합니다.

    일반적인 상기도 증상 외에 두통, 근육통, 후각이상, 지나친 피로감 등을 호소한다면 조금 더 코로나를 의심해볼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직접 구강안을 살펴보지 않아 정확한 진료는 불가하나 편도염으로 고생하고 계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주이상 편도염이 지속된다면 편도주위농양과 같은 합병증으로 발전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충분한 수분섭취와 휴식 취해주시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이비인후과 내원하셔서 진료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쾌차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선염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편도선염은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합니다.

    원인

    - 가장 흔한 원인균은 B 용혈성 연쇄상구균이며, 이 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들도 원인균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다양한 바이러스가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보통은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이 나타납니다. 뒤이어 인후통이 발생하고,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후염이 생길 수 있고,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

    -비수술적 치료는 염증을 제거하고 증상 완화를 위한 적절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제제나 아스피린 계열의 약물로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편도절제술을 시행합니다. 편도절제술은 재발성 편도염에서 가장 흔히 시행되며 이 경우 치료 효과가 좋습니다. 다른 치료법을 충분히 시도했음에도 불규하고 일년에 3~4회 이상 편도염이 재발하는 경우에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부작용은 없으며 비교적 안전한 수술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감기 가능성 높습니다.

    진료 보시고 증상 조절을 위해 약을 드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열이 없다면, 우선 내과나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약을 드셔도 호전이 되지 않거나, 해당병원에서 코로나검사를 받아보길 권한다면, 코로나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요새는 코로나에 감염되었더라도 무증상인 경우부터 가벼운 감기증상, 심각한 증상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코로나 검사 없이는 코로나에 감염되었다/아니다에 대한 정확한 답변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코로나 확진자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한 적이 없으며,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방문하는 등 코로나 감염을 의심할만한 사건이 없었다면 단순한 감기나 편도염 등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코로나가 걱정되는 경우에는 선별진료소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는 방법 외에는 코로나 감염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발열은 없지만 가벼운 호흡기 증상이 있어 높지는 않지만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가장 안전한 것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지만, 우선 약물을 복용해 보시고 증상의 차도가 없거나 악화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열이 없다고 해도 두통, 콧물, 인후통(편도가 붓는 증상) 모두 코로나를 의심해 볼 수는 있는 증상입니다. 일단 가까운 내과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시고, 선생님이 코로나 검사를 권유하시면 검사를 추가로 받으시되, 그렇지 않다면 약 드시면서 지켜보셔도 될 듯 합니다. 약을 드시고 효과가 없고 열이 난다면 이후에 코로나 검사를 받는 것이 좋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