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전기 관련해서 허용 전류라는 말이 있는데요 전선에 단면적에 안전하게 흘러갈 수 있는 허용 전류라는 말이 잘 이해가 안 됩니다 어떤 경우가 있을까

전기 관련해서 허용 전류라는 말이 있는데요 전선에 단면적에 안전하게 흘러갈 수 있는 허용 전류라는 말이 잘 이해가 안 됩니다 어떤 경우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택상 전기기사
    유택상 전기기사
    서울교통공사 검수팀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허용 전류는 전선이 과열되지 않고 안전하게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최대 전류량을 의미합니다. 전선의 단면적이 클수록 더 많은 전류를 안전하게 흘려보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기나 산업용 장비에 필요한 전류량에 따라 적절한 단면적의 전선을 선택해야 합니다. 만약 허용 전류를 초과하면 전선이 과열되어 화재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항상 규격에 맞는 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전기기능사입니다.

    저항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 하잖아요. 만을 고압을 흘려에 하는 경우 단면적이 작은 전선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저항이 높아 전선이 파괴되는 현상이 생길겁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허용 전류는 전선이나 케이블이 안전하게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를 의미합니다.

    전선의 단면적이 클수록 더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데, 너무 많은 전류가 흐르면 전선이 과열되어 화재나 전선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 히터를 잘못 키면 전선이 탈 수가 있습니다 콘센트가 터지기도 하지요 그것은 전선 굵기가 얇기 때문입니다 전기를 900w 또는w 쓰는데 전선이 얇다면 허용 전류를 넘어서게 때문에 위험하다는 얘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