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예방접종은 20대 이후에도 맞을 필요가 있나요?
이번에 독감 예방접종을 보고 궁금한게 있습니다.
제가 군대에서 한번 독감예방을 맞은적 말고는 한번도 맞은 기억이 없는데요.
근데 이번에 질본에서 독감3가 백신이 아닌 독감4가 백신을 투여한다고 하는데
군대에서 맞은 독감예방이 만약 3가 백신이면 4가 백신을 맞을 필요가 있나요?
한번도 감기에 걸린적도 없고 독감도 걸린적도 없는데 이번 코로나 사태 때문에 한번 받아 볼 필요가 있나 해서 물어봅니다.
또 예전에 4가 백신을 맞은적 있다면 60대 어르신들도 무료라는데 다시 받을 필요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은 다른 예방접종과는 달리
항체의 효과가 1년 미만으로 유지되고,매년 조금씩 다른 형태의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때문에
백신을 매년 유행전(9-10월경)에 접종해야 합니다.코로나19의 확산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가 함께 유행할 경우 많은 혼란이 예상됩니다.(건강한 성인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국가지원 대상은 아니지만)
질문자님의 건강 뿐만 아니라,
주변의 고위험군이신 분들의 건강을 위해
인플루엔자 접종을 하시길 권장드립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독감주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예방주사) 는 매년마다 합니다.
독감주사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 (항체 형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시행하기 때문에 독감 바이러스는 변이가 잘 되는 RNA형 바이러스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RNA형에 속하는 독감 바이러스는 유전자 변형이 계속 일어나 종류가 200개가 넘고, 매년 유행하는 독감 바이러스도 조금씩 달라 백신에 들어있는 항원도 매년 바뀌게 됩니다.
독감 예방접종 이후에 독감에 걸리더라도 증상을 경미하게 앓고 지나가게 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인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초초초님 독감예방접종때문에 고민이시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전에 독감주사를 맞은 여부와 관계없이 독감을 예방하고자 하시면 매년 맞아야합니다.
독감이라는 것은 해마다 바이러스의 형태가 변질되거나 새로운 바이러스형태가 유행하여 번지게 됩니다
3가 백신 , 4가 백신이라 하면 그해에 유행할것 같은 바이러스 형태를 예상하여 3종류, 4종류 항원을 주입하여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3가를 맞았다고 100%안전하다는 보장도 없으며 3가에 포함되지 않고 4가에 포함되었던 1종류에 의해서 독감이 걸릴 수도 있으므로 이는 확률의 문제라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독감을 최대한 예방하고싶으시다면 4가 백신이 가방 확률이 높게 예방할수 있으며 개인의 선택에 따라 3가, 4가 백신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아하 의료분야 전문가 전인배 약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