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니슈니
니슈니23.04.05

비가 오는 날에는 왜 소리가 더 울려서 들리나요??

문득 아침에 비가 오는데 비가 처마에 떨어지면서 소리가 크게 울려 들리네요! 비가 오는 날에는 소리가 더 크게 들리고 울리는 것 같은데 어떤 이유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날에 소리가 더 크게 들리고 울리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물이 소리를 전달하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비는 땅이나 건물 등에 떨어지면 소리를 발생시킵니다. 물은 공기와 다르게 소리를 빠르게 전달하는 능력이 높아서, 물방울이 땅이나 건물에 떨어질 때 소리가 더 크게 들릴 수 있습니다.

    2. 비에 의한 반사와 반향이 작용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비는 땅이나 건물에 떨어진 후에 반사되거나 반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리가 더 크게 들릴 수 있습니다.

    3. 비가 떨어질 때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비는 공기와 충돌하면서 공기의 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면 소리의 진동이 더 많이 전달되기 때문에 소리가 더 크게 들릴 수 있습니다.

    4. 우기나 저기압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가 많이 오는 날은 보통 우기나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날씨 조건은 대기의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소리가 더 크게 들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비가 오는 날에는 소리가 더 크게 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개인의 청각에 따라 느껴지는 정도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날에는 소리가 더욱 울려서 들리는 이유는 소리의 반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우선, 비오는 날에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증발하여 공기가 습하게 되고, 공기의 밀도가 증가합니다. 이러한 습한 공기는 고온 및 건조한 공기보다 소리를 더욱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오는 날에는 공기 중의 소리 파동이 더욱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습니다.

    또한, 비가 오는 날에는 지면이 습해지기 때문에, 소리 파동이 지면에 닿았을 때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더욱 길어집니다. 이러한 반사로 인해 소리 파동이 지면과 공기 상에서 반복되며, 소리의 에너지가 분산되지 않고 더욱 집중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오는 날에는 소리가 더욱 울려서 들리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 오는 날에는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고, 지면이 습해져서 소리 파동이 더욱 잘 전달되며, 반사로 인해 소리가 더욱 집중되기 때문에, 소리가 더욱 크게 울리게 됩니다.


  • 비가 오는 날에 소리가 더 크게 울리는 이유는 공기의 밀도와 속도의 변화 때문입니다. 비가 오면 공기 중 물이 적재되면서 공기의 밀도가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소리의 파장이 늘어나게 되고, 파장이 늘어난 소리는 더욱 먼 거리까지 전달되어 더욱 크게 울립니다. 또한 비가 오면 지면이 젖어서 진동이 쉽게 전달되므로 소리가 더욱 선명하게 들리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혼자 울리지 않습니다. 소리를 전달하는 매개체인 공기나 물 같은 ‘매질’의 진동을 통해 멀리 퍼져나가는 것인데요, 공기 중에서 소리가 전달될 때와 물속에서 소리가 전달될 때의 속도는 매우 다릅니다. 물속에서는 무려 5배 정도 더 빠르게 소리가 전달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 오는 날은 멀리서 들리는 소리도 마치 가까운 거리인 것처럼 들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