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머쓱한박새70
머쓱한박새7023.08.07

하늘에 둥둥 떠다니는 구름은 왜 하얀색일까요

하늘에 둥둥 떠다니는 일반적인 구름의 경우 왜 하얀색일 까요 물론 먹구릉 같은경우 등 왜 구름은 하얗게 보일까요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은 주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빛을 반사하며, 빛의 파장 중 가장 짧은 파장인 파란색을 제외한 모든 파장을 반사합니다.

    이러한 반사 현상으로 인해, 구름은 밝은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또한, 태양이 지난 후 구름이 붉게 물들어 보이는 것은 태양 광선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붉은 빛의 파장이 남아 있는데, 이러한 붉은 빛이 구름에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하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알갱이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이 하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Scattering) 현상 때문입니다. 구름은 수증기가 공기 속에서 응결하여 형성되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은 빛과 상호 작용하게 됩니다.

    1. 빛의 산란: 빛은 구름 속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과 상호 작용하여 산란됩니다. 산란은 빛의 파장이 공기 분자와 상호 작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흩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구름은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시키기 때문에 빛이 고르게 분포되고, 전체적으로 밝고 하얀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2. 모든 색상의 조합: 빛은 일반적으로 7가지 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하지만 구름이 빛을 산란시키면 모든 색상의 빛이 골고루 분산되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색은 하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광 스펙트럼(White Light Spectrum)라고 합니다.

    구름이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빛의 산란으로 인해 빛이 고르게 분산되어 하얀색으로 보이게 되므로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은 대개 하얀색으로 인식됩니다. 그러나 일부 구름은 태양이나 달의 위치에 따라 붉거나 노란 색조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빛의 경로가 더 많은 대기층을 통과할 때 산란되는 빛의 파장이 다른 색상보다 더 많이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하얀색인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빛이 구름을 통과하면, 구름의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에 의해 산란됩니다. 산란은 빛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 현상입니다. 구름의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는 매우 작기 때문에, 모든 파장의 빛을 균등하게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구름은 하얀색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산란되어 눈에 푸른색으로 보이는 데 반해, 파장이 긴 빨간색은 거의 산란되지 않기 때문에 빛의 색상이 반영되어 보이지 않습니다. 이렇게 파란색 빛이 많이 산란되고, 빨간색 빛이 거의 산란되지 않기 때문에 구름은 하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