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우리나라 통화정책은 금리 인상말고 어떤게 있나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외에 물가나 경기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른 통화정책수단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어떤 정책을 펼치려고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에서 결정되는 통화 정책의 종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선 한국은행이 주로 통화 정책을 주도하는데

    정책 수단으로는 공개시장조작, 지급준비율 조정, 그리고 기준 금리 설정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통화 정책의 경우 환율시장에 대한 직간접적인 개입을 통한 물가안정, 무역에서의 수출입 영향에 대한 영향 안정화, 그리고 한국은행의 수신금리에 대한 조정을 통해 시중에서의 유동성을 일정하게 확보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에서 실시할 수 있는 하나의 통화정책으로 이러한 통화정책을 통해 보다 안정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통화정책을 통해 금융시장 및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경제적인 성장을 도모 할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통화정책은 금리를 조절하는 것외에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조절하여 통화 수급을 결정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 해당 통화정책은 은행의 돈 수급을 결정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시중에 돌아다니는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기준 금리 이외에도 공개 시장 조작(채권 매매)과 지급 준비율 조정과 환매조건부채권 거래 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유동성을 조절 합니다. 최근에는 긴축 기조 유지와 유동성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물가 안정과 외환 시장 안정을 동시에 고려하는 선별적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화정책으로 기준금리 조정 말고, 공개시장조작(국채 매입·매도를 통해 시중 통화량을 조절), 지급준비율 조정(은행의 예금 대비 대출 비율을 높여 통화량 조절), 재할인율 조정(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서 자금을 빌릴 때 적용되는 이자율 변경)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인하 동결 인상 3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물가가 너무 오르면 기준금리 인상하고 경기가 너무 침체되면 인하를 하죠

    요즘 처럼 경기가 안 좋으면 기준금리 인하를 해서 시중 통화량을 늘려서 내수경기 부양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기도 하며

    더불어서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하기도 하는 등

    이러한 것이 통화정책이라고 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조정외에도 공개시장조작, 지급준비율 조정, 환매조건부채권 매매 등이 대표적인 수단입니다.

    공개시장조작은 채권매매로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고 지급준비율은 은행 대출 여력을 통제하는 방식입니다.

    이외에도 한국은행은 외환시장 개입이나 통화안정증권 발행 등 다양한 수단을 병행해 정책 효과를 극대화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통화정책은 기준금리 조정 외에도 다양한 수단이 있습니닼 대표적으로 한국은행이 국채 등 증권을 사고파는 공개시장운영, 금융기관의 예금 일부를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적립하도록 하는 지급준비율 정책, 금융기관에 저리로 자금을 빌려주거나 예금하는 여수신제도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개시장운영은 가장 대표적이고 일상적으로 활용되는 수단입니다. 한국은행이 금융기관을 상대로 국채나 통화안정증권 등 증권을 사고 팔아 시중의 유동성이나 금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입니다.

    여수신 세도는 한국은행이 금융기관에 자금을 빌려주거나 예치받는 제도입니다.

    지급준비제도는 은행이 고객의 예금 중 일정 비율 이상을 한국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 두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지급준비율이 인상되면, 은행이 한국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돈이 늘어나므로, 대출할 수 있는 자금이 줄어들어 통화량이 감소하고 금리 상승 압력이 발생합니다.

    지급준비율이 인하되면 은행이 대출할 수 있는 자금이 늘어나 통화량이 증가하고 금리 하락 압력이 발생합니다. 이 수단은 효과가 강력하여 자주 사용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