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11.06

왜 비를 부르는 먹구름은 회색 빛을 하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오늘 따라 유난히 비도 많이 오고바람도 많이 부는데요

비가 올 때 하늘을 보면, 먹구름이 가득하던데... 왜 비를 부르는 먹구름은 회색 빛을 하고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를 머금고 있는 구름은 내부에 수증기로 가득참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는 양이 확연히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검게 보이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상태를 우리는 먹구름이라고 부르게 되는 것 이죠.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검게 보이는 구름은 수직으로 발달한 적운형 구름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때문이고, 구름속의 물방울에서 모든색은 산란되어 빛의 원 색인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수직으로 발달한 적운형 구름에서는 상층의 물방울이 빛을 모두 산란, 흡수, 반사 시켜 하층으로 내려오는 빛이 매우 약해져서 빛이 내려오지 못해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만들어진 구름입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면서 햇빛을 산란시켜 회색 빛을 띠게 됩니다. 구름은 크게 층적운, 적운, 층운, 고적운, 난층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먹구름은 주로 적운과 고적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적운은 수증기가 많은 곳에서 발생하는 구름으로, 뭉게뭉게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적운은 햇빛을 많이 산란시키기 때문에 회색빛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적운은 고층으로 퍼져 있는 구름으로, 먹구름을 이루는 주요 구름입니다. 고적운은 햇빛을 많이 산란시키기 때문에 회색빛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가 올 때 하늘을 보면, 먹구름이 가득한 이유는 구름이 많아서 햇빛이 많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먹구름은 수증기가 많아서 햇빛을 더 많이 산란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를 내리게 하는 구름에는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구름은 빛을 통과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햇빛이 통과하지를 못 해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6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방울의 밀도가 높아져 비가 내릴 정도의 구름이 두꺼워지면 통과되는 빛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 아랫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줄게 되어 어둡게 보이게 되는데요.

    이 때의 구름이 바로 먹구름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모여서 만들어진 덩어리입니다. 지면에 비로 떨어지는 빗방울의 지름은 가장 작은 것이 1mm정도지만, 구름의 입자들은 0.02∼0.08mm로 아주 작은 크기입니다.

    구름을 이루고 있는 물방울들은 수증기와는 다르게 모든 색의 빛을 산란시킬 수 있습니다. 때문에 태양의 모든 빛이 구름 속의 물방울에 산란되어 나오면서 우리 눈에는 구름이 밝은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비를 갖은 구름들은 품고 있는 물방울의 양이 많아 부피도 크고 두껍기 때문에 태양빛의 투과를 방해해 강한 비구름일수록 구름 바닥이 회색빛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물방울과 얼음조각들이야. 태양빛이 구름에 반사되고, 산란되면서 구름은 하얗게 보이는 거지요. 장마 기간처럼 구름이 비를 잔뜩 머금고 두꺼워져 빛을 흡수하고 산란이 잘 안되면 회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