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인도의 사티제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사티제도는 인도의 힌두교 풍습으로 남편이 아내보다 일찍 죽게 되면

남편의 시체를 화장할 때 아내가 불속으로 뛰어드는 풍습이었다고 하는데 의미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도의 사티제도가 무엇인지 궁금하군요.

      사티는 힌두교도의 오래된 관습으로, 과부가 남편이 화장 당할 때, 함께 살아있는 채로 태워지는 것을 말 합니다. 사트라는 말의 어원은 〈정숙한 아내>를 의미합니다. 사티는 상당히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세시대에는 인도 전역으로 사티 풍습이 퍼지면서 각각의 마을에는 사티를 기념하는 돌이 수 없이 생겼습니다. 가족들은 과부가 사티에 의해서 희생당하면 가족의 종교적인 죄가 없어진다고 사티를 조장하였습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는 전사계급의 윤리, 여자의 지위의 저하, 과부 생활의 비참함이 이 러한 상황을 야기 했습니다. 사티의 대부분이 과부의 자발적 행위가 아니라 친족의 강요와 약물에 의해서였습니다. 19세기에 들어와서도 사티는 벵골 등에서 수많은 사례가 있으며, 1815년 이후 라무 모한 로이들이 이의 금지운동을 추진, 1829년에 영국 식민지정부가 법률을 제정해서 사티를 금지시켰다고 합니다.

      사티의 역사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본다면, BC4세기 무렵부터 펀자브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그리스인이 남긴 기록이 있습니다. 인도의 2대 서사시인 ‘마하바라타’, ‘라미야나’에도 이러한 사실이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티제도는 부부 사이에서 남편이 아내보다 먼저 죽으면 남편의 시체를 화장할 때 아내가 산채로 불 속으로 뛰어드는 것으로 시바 신의 첫번째 아내인 사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사티의 아버지 다크샤는 사티가 결혼 적령기가 되자 신들을 모아 연회를 열었는데 다크샤는 시바 신을 좋아하지 않아 그를 초대하지 않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티는 시바 신만을 자신의 신랑감이라 생각, 결국 시바와 결혼합니다.

      다크샤는 희생제라는 의식을 열었는데 여기서도 시바를 초대하지 않았고 사타는 이를 지켜보다 남편인 시바신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희생제의 불속으로 몸을 던져 자신을 산 제물로 삼았으며, 이는 남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사티의 행동을 상징적으로 여겼고, 사티가 이상적인 아내 상으로 여겨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현실에 적용되면서 사티제도가 생기는데 이 제도는 강제가 아니라 선택이지만 인도 사회의 여성 인권이 낮은 상황에서 과부들은 재혼도 할수 없게 되었고, 남편의 가족들은 아내에게 상속되는 재산을 빼앗기 위해 사티제도를 강요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바의 첫 부인 삭티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아버지가 남편 시바의 명예를 모독한 것에 분노한 나머지 희생제에 몸을 던져 희생했다는 이야기에서 악습이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사티(Sati)는 남편이 죽으면 시체를 화장할 때 아내가 불 속에 뛰어들어 남편의 시체와 함께 불타는 풍습입니다. 사티는 정숙한 아내라는 어원을 지니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티는 힌디어로 '용감한 아내'라는 의미이다. 과거 인도에서 행해졌던 힌두교 의식으로, 남편이 죽어 화장할 때 그의 아내가 불 속에 뛰어들어 남편의 시체와 함께 산 채로 화장되던 풍습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