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8.31

조선의 선조 독살설에 대해 역사서는 어떻게 말하고 있나요?

선조가 약밥을 먹고 쓰러졌다고 하는데요.

아들인 광해군이 아버지 선조를 독살했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이와 관련해 역사서에는 어떻게 써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사나 야사에서 다룬 이야기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계축일기 등에 찹쌀밥 독사설로 기록된 바가 있습니다.

    아침식사를 겨우 먹은 뒤 55세를 일기로 재위 40년 7개월 간의 치세를 마감하는데 당시 그의 마지막 수라를 준비하던 궁녀 중 김개시가 있었고 이후 그가 죽기전에 먹었다는 음식에 독이 들었을 것이라는 소문이 돌며 선조의 독살설이 의혹으로 제기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조가 임진왜란이 끝나고 광해군 보다 영창대군을 더 좋아하게 되는데 광해군의 사람인 이이첨은 자기 주군을 굳건히 지키는 고자 했는데 선조의 노여움을 뚫고 광해군을 옹호합니다. 이이첨은 영창대군을 옹립하려는 영의정 유영경에 맞섰는데 그는 유영경 세력을 비판하면서 광해군 사수 운동을 벌였지요. 이런 그의 행동은 와병 중인 선조의 눈에 거슬렸고 이로 인해 그가 선조의 총애를 잃게 되자, 유영경 일파는 이이첨을 귀양 보낼 것을 주장했습니다. 선조는 이들의 의견을 받아들였는데 이때가 선조 41년 1월 양력1608년 3월 12일의 일인데 이이첨은 곧바로 귀양을 떠나지 않았는데 무슨 이유에선지 그는 시간을 지체하는 사이에 같은 해 2월 1일(양력 3월 16일)에 선조가 죽었다고 합니다. 그러고 나서, 아주 이례적으로 다음 날 광해군이 왕이 되었습니다. 왕이 죽으면 보통 5일 뒤에 새로운 왕이 즉위하는 선례와 비교하면, 광해군의 등극은 상당히 빠른 것이었지요. 이렇게 되자 이이첨은 귀양을 갈 필요가 없게 되었고 그는 광해군의 최 측근으로 부상 하게 되는 점으로 보아 아마도 이이첨이 선조를 독살 한것은 아닌가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만 정확한 증거는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종독살설 속에서 자신의 아들 명종을 즉위시킨 문정왕후는 손자까지 왕위를 잇진 못합니다. 문정왕후 사후 2년 뒤 명종이 후손없이 죽자 방계 중에서 왕위를 계승한 이가 선조입니다. 선조가 방계라는 콤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해 적통을 얻고자 했으나 정비인 의인왕후는 석녀였습니다. 그래도 선조는 후궁들에게서 13남 10녀를 얻게 되었고 선조는 적통이 아니라면 사랑하는 인빈 김씨소생 신성군을 보위에 앉히려고 했으나 당시 서인들을 비롯한 공신들은 공빈 김씨의 둘째아들 광해군을 염두에 두었습니다. 동인의 계략에 송강 정철은 귀양보내고 동인이 주도권을 잡았고 1592년 임진왜란 때는 동인의 분파인 북인 조식과 괵재우의병장 등이 활약했으며 임란 후에는 대북과 소북으로 또 나뉘어 선조 후사문제를 논의하였습니다. 인목대비가 영창대군을 낳았기 때문에 적통에 목말라하던 선조의 고민을 해결해주리라고 생각한 까닭입니다. 이로인해 광해군을 폐세자 시키려했으나 여의치 않았고 결국 서인의 집권으로 영창대군을 잃은 인목대비가 부활하면서 인목대비 입에서 선조독살설이 나오면서 광해군 부자를 척결하라고 명합니다. 이와 괸련하여 인조반정이 성사되고 광해군은 폐위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