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에 수면마취 후 5일 지난 토요일 현재까지 어지럼증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현재는 토요일입니다.
저번 주 내내 감기(독감) 증상으로 감기약을 복용하였고, 몸살과 설사 증상이 약간 있었습니다.
상태가 많이 호전되어 5일 전인 월요일에 눈밑지방재배치를 하러 지방에서 서울까지 가는 도중 버스에서 멀미를 하여 구토를 2번 했고(공복 상태였습니다), 눈밑지방재배치 수술로 인한 수면마취 후 회복실에서 또 한번 심한 어지럼증을 느껴 구토하였습니다. (수면마취는 처음 해봐요!)
병원에 문의해보니 수면마취 시 사용했던 약물은 프로포폴, 미다졸람, 케타민 이렇게 3가지가 나눠서 들어갔다고 합니다. 원래 수면마취 후 깨어나면 몇시간은 어지럼증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 문제는 5일이 지난 현재까지도 아지러운 증상이 계속 지속된다는 것입니다.
처음 2~3일은 구역감도 있었는데 지금은 그렇지는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어지럼증이 덜한 것 같기는 한데, 지금까지 한번도 이런 적 없다가 그 날 이후로 지금까지 아침에 막 일어나면 머리를 조이는 듯한 두통 비슷한 느낌과 어지럼증 때문에 걱정이 됩니다..ㅠㅠ
그리고 하루종일 잔잔하게 지속되는 이 어지럼증이 머리 방향을 바꾸거나 하면 좀 더 심해지는 것 같아요.
원래도 차멀미가 심한 편이 아니었는데 지금은 차만 타도 멀미할 것 같은 느낌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는 것인지, 원인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면마취 후 어지럼증은 일반적으로 마취제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수술 후 며칠 이내에 점차 줄어듭니다. 그러나 어지럼증이 지속되는 것은 추가적인 의료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면마취 시 사용된 프로포폴, 미다졸람, 케타민은 각각 다른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약물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어지럼증은 이러한 약물들이 체내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감기 증상과 감기약 복용, 공복 상태에서의 구토, 그리고 멀미와 같은 요인들도 어지럼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현재 겪고 계신 어지럼증이 머리 방향을 바꿀 때 심해진다고 하셨는데, 이는 위치성 어지럼증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위치성 어지럼증은 머리 위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며, 내이의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이비인후과 진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