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젊은여치199
젊은여치19921.08.19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이런저런 말들이 많은데 정확히 알고 싶어요

지금 코로나19 백신 종류가 여러가지로 알고 있는데 각각의 특성과 접종시기에 대해 알고 싶고 만일 부작요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상세히 알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백신과 치료제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알고싶네요. 우리나라는 치료제를 연구한다고 하는데 그 연구기관은 어떤 곳들이 있는는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까지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유행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은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를 획득하는 것입니다.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항체를 획득하여 집단 면역을 형성하면 간헐적인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지금처럼 대유행하는 감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기저질환은 평소에 진단 받고 관리 중인 만성질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암, 만성간질환, 만성신질환, 만성폐질환 등을 말합니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에 따르면 접종 후 코로나19 자체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진행이나 사망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접종을 완료하고 2주가 지난 시점에 발생하는 돌파감염 사례의 경우는 전체 확진자의 1% 내외이며, 중증 및 사망자 비율은 훨씬 더 낮습니다. 이를 통해 유추해 볼때 접종으로 인한 이득이 접종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반응 특히 그보다 비율이 훨씬 낮은 중증이상반응에 의한 위해 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부작용은 모더나,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발열이나 근육통과 같은 증상은 접종 후 2~3일 동안 심하고 점차 호전됩니다.

    증상 발생시 해열제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을 복용하시고, 복용 후에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내원하시어 추가적인 진찰 및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발열, 근육통, 두통이나 접종 부위의 국소적인 증상은 3일 정도 지속되며 대부분 1주 이내 호전됩니다.

    접종 전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은 새로운 가이드라인에서는 권장하지 않으며 증상이 생기면 드시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에는 가급적 무리한 신체활동을 삼가시고 접종 부위 통증이 있다면 얼음찜질을 하며 접종 부위 팔의 사용을 줄이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도 도움이 됩니다)

    화이자/모더나 백신 접종 후 드물지만 심근염, 심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숨이 차거나 가슴통증이 있는 경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실제로 맥박이 빨리 뛰는 경우, 실신 등이 있다면 내원하시어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해외에서 보고된 바에 따르면 드물게 발생하는 심근염, 심막염은 2차 접종 후, 젊은 남성에서 더 자주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체생성에 제한을 줄 수 있어 접종 전후 2주간은 다른 예방접종은 피하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백신 접종 후 항체 생성까지는 약 2주간의 시간이 필요하며, 백신 접종 이후에도 집단면역 형성 전까지는 지금처럼 생활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모더나는 mRNA 백신이고,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입니다.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혈전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90%대,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60%대 항체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 치료제도 현재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중이나 뚜렷한 성과가 없는 상황입니다. 초창기 유행당시 사용했던 약제들도 연구결과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어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 관련하여 문의주셨습니다.
    이제 막 개발 된 백신이며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효과가 얼마나 될지, 어떤 부작용이 나올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변종 코로나에 대한 추가적인 접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당단백질 백신이 아닌 mRNA 백신의 경우 기존에 우리가 맞던 독감과 같은 예방접종과 다르기 때문에 그 부작용이나 효과를 예측하기가 더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펜데믹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 접종 하는 것을 권합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어도 상당기간 마스크 착용과 손씻는 것과 같은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셔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아래 자료는 임상실험이후 나타난 각 백신별 부작용입니다.
    기저질환자나 고령자의 경우 어떤 부작용이 더 나타날지에 대해서는 아직 데이터가 부족하여, 정확한 답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경한 부작용이 있다면 타이레놀을 복용하시고, 증상이 심하시다면 접종하신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타이레놀 이외 다른 진통제는 백신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일부 보고가 있습니다.
    덧붙여 코로나 백신 접종 전에 NSAIDS계통 진통제나 스테로이드제를 드시는 경우 약물 조절이 필요하며, 이외의 약물이 백신 접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적습니다.

    ** 아스트로제네카
    -접종 부위 통증(84.1%)
    -피로감(62.9%)
    -두통(55.1%)
    -근육통(38.3%)
    -오한(31.9%)
    -관절통(23.6%)
    -발열(14.2%)
    -접종 부위 부기(10.5%)
    -접종 부위 발적(9.5%)
    -오심(1.1%)
    -권태감(0.5%)
    -임파선염(0.3%)

    ** 얀센
    -접종 부위 통증(92.0%)
    -피로감(70.0%)
    -두통(64.7%)
    -근육통(61.5%)
    -관절통(46.4%)
    -오한(45.4%)
    -오심/구토(23.0%)
    - 겨드랑이 부기 및 압통(19.8%)
    -발열(15.5%)
    -접종 부위 부종(14.7%)
    -접종 부위 홍반(10.0%)

    ** 화이자
    -접종 부위 압통(>60%)
    -접종 부위 통증, 두통, 피로감(>50%)
    -근육통, 권태감(>40%)
    -발열, 오한(>30%)
    -관절통, 오심(>20%)
    ​참고) 1차 접종과 비교하여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은 발생 빈도가 적고 더 경증으로 알려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괜찮습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접종 전에 진료시 상담 받으시면 불안한 마음이 가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mRNA백신: 화이자 / 모더나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RNA형태로 투여

    -바이러스 벡터 백신: 아스타라제네카 / 얀센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에 넣어 투여

    -유전자 재조합 백신 : 노바백스

    >>바이러스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만들어 투여

    코로나 백신을 맞고 나타나는 주요 부작용으로는 주사를 맞은 팔의 통증, 조홍, 부어오름이 있으며,

    몸 전체의 피로감, 두통, 근육통, 오한, 발열, 메스꺼움 같은 부작용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