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박식한소쩍새210
박식한소쩍새21022.04.25

매복 사랑니 신경 쪽 닿아있음

최근에 치과를 가게 되었는데 x레이를 확인 한 결과 오른쪽 매복 사랑니가 잇몸 안쪽 신경 쪽에 닿아 있어서 대학병원가서 붓거나 염증이 생기면 빼라고 하는데 아직은 불편하지는 않습니다. 언제 발치하는것이 좋을까요??? 아직은 괜찮은데 지금 빼는것이 나을까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매복 사랑니가 신경에 완전히 닿아 있다면 발치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무리하게 발치를 시도하다가 신경이 손상되면 편측으로 안면 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랑니를 무리하게 발치하지 않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사랑니 부위 주변을 꼼꼼히 양치하는 것이며 최대한 문제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사랑니가 매복되어있고 신경관과 가깝다면 보통 대학병원에서 발치할 것을 권합니다.

    사랑니가 충치나 치주질환이 있거나, 앞의 치아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낭종이 있거나, 자주 붓거나 아프고 관리가 안된다면 발치를 권합니다.

    위의 문제가 없다면 좀더 써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4.25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문제를 유발하기전에 발치 하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매복사랑니는 인접치아의 치근흡수, 인접치의 이동, 악궁의 공간소실, 치아낭종 형성,매복 주변 부위의 감염 및 통증, 음식물을 씹을 때 매복치 주위에서 불쾌한 입맛, 림프절부종, 입을 열때 불편감, 턱 뼈의 통증, 두통 등을 유발 할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세현 치과의사입니다.

    사랑니의 머리부분이 제2대구치 치아뿌리를 향하면서 치근을 흡수시키는 경우가 아니라면

    입안에서 안보이는 사랑니는 발치 안하셔도 됩니다.

    다만 치아는 지속적으로 맹출력이 있어 30대 이후에 구내로 맹출되어 염증을 일으킬수 있는데

    30대 이후로는 치아를 뽑는게 힘들어 발치하실때 더 힘드실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제2대구치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아니라면, 조금 맹출하기를 기다리면서(신경과 멀어지도록) 경과관찰하다가, 20대의 적절한 시기에 발치하시는것을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문제가 생기면 뽑으시는것이 좋긴 합니다만 질문자님의 경우

    사랑니 뿌리가 신경과 가까이 있었던 경우

    사랑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신경이 영향을 받아서

    그러한 무딘 느낌이 받아질 수 있습니다.

    보통 6개월안에 회복되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매복 사랑니는 언젠가는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바로앞 어금니를 상하게 만드니 가능한

    빨리 뽑아주어야 바로앞 어금니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염증이 생기면 염증 가라앉힌 후 뽑아야 하니 괜찮을 때 뽑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발치 하기를 원하신다면 아프지 않을때 미리 대학병원가셔서 예약을 잡아놓는게 좋습니다. 예약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아플때 가시면 고생하실수도 잇어요.


  • 안녕하세요.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매복되어 있다면 언제가는 염증이나 문제가 생길수 있으므로 문제생기기전에 미리 빼주는걸 추천드립니다.

    신경과 근접하거나 닿아있다면 대학병원에서 빼는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