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숙연한콜리173
숙연한콜리17323.10.03

눈이올때 번개가 치지않는 이유?

눈ㅇㅣ 올따는 번개가 치지않는 이유가 뭘까요???? 생각해보니 비올때말고는 눈이올때 번개치는걸 한번도 못본거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내릴 때도 번개는 발생할 수 있지만 번개가 생기는 횟수가 크게 줄어듭니다.

    이유는 지표면의 온도 때문입니다.

    지표면의 온도가 높으면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구름에서 전하가 분리되며 번개가 발생하지만 눈이 내리는 경우 지표면의 온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번개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 내에서 전하가 분리되어 발생합니다. 구름 내에서 전하가 분리되기 위해서는 구름 내에서 물방울과 얼음 결정이 충돌해야 합니다. 눈은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름 내에서 물방울과 충돌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눈은 구름 내에서 상승 기류가 약하기 때문에, 구름 내의 전하가 빠르게 분리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눈은 구름 내의 전하가 빠르게 소멸되기 때문에, 번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대기 중의 수분이 결정화되어 만들어지는 현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눈이 내릴 때는 대기 중에 수분이 존재하지만, 대기 중에는 전기적으로 충분한 차지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번개는 전기적인 방전 현상으로, 대기 중에 충분한 전하가 누적되어야 발생할 수 있습니다.눈이 내리는 동안에도 번개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눈과 함께 강한 대기 교란이나 비 또는 눈보라와 같은 기상 조건이 함께 발생할 때 번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