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PET소재는 어떻게 투명,반투명, 불투명 조절할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하얀도화지입니다.

플라스틱 소재 중에 PET병을 보면 어떤거는 투명하고, 어떤거는 반투명,

아예 불투명한 것들이 있는데

어떻게 투명성을 조절할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PET소는 보통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라고 불리우며 제조 과정에서 결정화 정도와 첨가물에 의해 투명도가 조절됩니다. PET를 빠르게 냉각시켜 결정화를 최소화하여 빛이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대표적으로는 PET의 결정화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것 같습니다.

    PET는 일단 고분자 재료에 속합니다. 고분자재료는 결정질 부분과 비결정질 부분으로 나뉘는데, 용액상태에서 고화시킬때 냉각시키는 온도 또는 냉각시키는 속도 등에 의해 "결정화도" 차이가 생깁니다.

    예를들면 느리게 냉각하면 결정이 충분히 형성될시간이 생겨서 결정화도가 높은 고분자가되고, 빠르게 냉각하면 결정이 생길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서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가 됩니다.

    이때 결정화도가 높은 고분자를 통과하는 빛은 산란이 적고, 균일하게 굴절되기때문에 투명하게 보이는 반면 ,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는 부분마다 굴절율차이가 커서 반대편에서 온 빛이 그대로 고분자를 통과하지 못하고 산란되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불투명하게 보이구요.

    이외에도 각종 첨가제를 넣는 방식으로 고분자의 투명성 내지 색을 조정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PET 소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투명성 조절이 가능하며, 이는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첨가제 및 처리방법을 활용합니다. 첨가제의 경우 색소 염료를 추가하여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불투명 화합물을 혼합하여, 투명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또한 열처리나, 기계적 처리 등을 통해 투명도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 소재인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병의 투명성은 제조 과정에서의 결정화 정도와 첨가물에 의해 조절됩니다. PET는 기본적으로 반결정성 고분자로 냉각 속도에 따라 분자 배열이 결정화되거나 비결정화됩니다. 빠르게 냉각하면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지 않아 투명한 PET가 생성되고 느리게 냉각하면 분자들이 더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PET가 됩니다. 또한 특정 첨가제를 사용하여 고의적으로 투명도를 낮출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PET의 투명성은 제조 공정과 재료 조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