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회사 생활

대단히자유분방한깍두기
대단히자유분방한깍두기

이직할때 경력을 모두 기재하는게 좋을까요?

이직 준비중인데 5년 경력과 8개월경력이 있습니다. 8개월 경력은 그냥 숨기는게 나을까요. 8개월경력이 더 최근것이라서. 공백기동안 뭐했는지 궁금해할것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조포맨
    조포맨

    전부 기재를 하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다만 기간이 짧은 경력은 퇴직의 사유가 분명하게 기록 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양한 경험이 유리 할 수 있습니다.

  • 저라면 8개월을 기재할것같아요.

    공백기에 발전자체가 없었다면 일을 했다고 하는게 맞는것같아요.

    솔직히 겨우 2~3개월이면 공백기에 대한 이유를 커버할 수 있겠지만 8개월의 공백기는 생각보다 커버가 어려워요. 특히나 하면 안되는게 아팠다는 말이구요.

    대신 퇴사이유를 잘 둘러대야겠죠..

    근데, 확실히 공백기 이유 말하는것보다는 쉬울꺼에요.

    앞에 5년의 경력이 있으니 철새 취급은 안당할꺼에요.

    왜냐하면 5년이라는 장기근속을 했는데 뒤에 8개월 근무를 했다면 나름 이유가 있었다 볼 것같아요.

    저는 8개월 기재 찬성입니다.

  • 네 기재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8개월 경력이 최근 것이고 기재 안하면 질문처럼 8개월 동안 뭐했는지 설명하는 것이 더 감점 요인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회사 분위기나 면접관 성향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지만 그래도 적는 것이 솔직해 보이기도 합니다.

  • 이런 경우는 그냥 적는게 좋을듯 합니다. 8개월만 근무하고 퇴사한 사유를 정확히만 말해준다면 특별히 문제가 될것 같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 공백기에는 무엇을 했는지 답변이 더 힘들것으로 판단됩니다.

  • 어떤 분야인지에 따라서 달라질거 같습니다.

    우선 공백기에대한 할말이 없다고 한다면

    모든 경력을 기재하는것이 좋습니다.

    어차피 확인이 가능하니까요.

  • 이정도 경력이면 저는 모두 기재하는게 좋을꺼 같아요 뭐 2~3개월 했다고 한다면 안하는게 좋습니다. 그런데 무려 5년 경력이 있으시까 써보세요~^^

  • 보통 경력이 짧은 것은 숨기는 것이 좋지만 최근 경력이 없어지면 오히려 경력 공백을 물어볼 수 있기 때문에 8개월 경력도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