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09.22

지구에 대기는 어떤성분으로 구성 되어 있나요?

로켓발사등 기사를 보다보면 대기권통과등에 대해 보았는데 문득 이런 대기권은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길래 대기권으로 불리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질소가 약 78% 정도를 차지하며 산소는 20% 정도를 차지하게 됩니다.

    나머지는 이산화탄소 외 기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 성분은 질소가 78%, 산소가 21%, 아르곤이 0.93%, 나머지 이산화탄소나 네온, 헬륨, 수소,메탄 등등 다양한 기체들이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에는 아주 다양한 종류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기의 대부분 요소는 질소이며 약 70프로 이상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산소로 구성되어 있고 약 20프로 이상입니다.

    나머지는 이산화탄소 등 다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죠.


    감사합니다.


  • 대기권은 약 1000km까지이며 높이에 따른 온도변화에 따라 지표로부터 약 10km까지의 대류권, 10~50km의 성층권, 50~80km의 중간권, 그 이상의 열권으로 구분합니다. 구성성분은 질소가 78%로 가장 많고 산소가 21%를 차지합니다. 나머지 기체 중 가장 많은 것은 아르곤이고 지구온난화와 관계가 깊은 이산화탄소는 약 0.04%입니다.

    공기분자도 질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력의 영향으로 지표 가까이에 몰려 있습니다. 고도 5.5km 상승할 때마다 기압은 1/2씩 감소합니다. 지상에서 100km까지를 균질권이라고 하는데 공기의 밀도는 다르지만 질소가 78%, 산소가 21%라는 비율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그 이상은 고도에 따라 대기 구성 성분이 달라지는 비균질권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질소: 대기의 약 78%를 차지하며, 가장 풍부한 성분입니다. 질소는 생물 활동과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산소: 대기의 약 21%를 차지하며, 대기 중 산소는 생명 활동에 필수적입니다. 동물들은 호흡을 통해 산소를 흡입하여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3. 아르곤: 대기의 약 0.93%를 차지하는 비활성 기체입니다. 아르곤은 대기 중에서 가장 풍부한 희귀 기체입니다.

    4. 이산화탄소 : 대기의 약 0.04%를 차지하며, 주로 자연 및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합니다. 온실 효과와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분입니다.

    5. 수증기 :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은 변동적이며, 주로 기후와 날씨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증기는 구름, 비, 눈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위치와 고도 환경에 따라서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질소 78%, 산소 21%, 아르곤0.93%, 나머지 미량 기체(이산화탄소, 네온, 헬륨, 수소 등)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 식물, 동물등이 살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크게 질소(78%), 산소(21%), 아르곤(0.93%), 이산화탄소(0.04%), 그리고 기타 기체(0.03%)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