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탁월한오소리221
탁월한오소리221

북한 경제를 말아먹은 3대 실책으로 서해갑문

서해 갑문을 어떻게 공사했길래 북한 경제를 말아먹을 정도가 된 것인가요?

서해 갑문 공사를 왜 진행했고 어쩌다 공사도 실패하고 나라 경제까지 말아먹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서해갑문에 대한 구상은 1970년대 중후반부터 있었고, 북한 당국은 소련에게 교역 차원에서 현물을 가져다 주고 설계와 시공 기술을 받아오려고 했다. 그리하여 소련 건설당국의 기술자들을 불러와서 건설 예정지와 대동강 일대를 둘러보게 했는데, 소련은 '이거 지어봤자 장기적으로 보면 여러 측면에서 손해가 크다. 안 하느니 못하다.'는 결론을 내고 설계를 거부했다. 실제 1970년대의 소련은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사이 처녀지 개간 운동 같은 무리한 자연 개발 사업의 후유증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대규모 사업에 굉장히 신중하게 접근했고, 건설 강행 이후 벌어진 일들을 보면 당시 소련 기술진들의 결론이 맞았다. 그런데 김정일이 이걸 '소련이 건설 기술 노출을 우려해서 안 해주는 거'라고 곡해했고, 김일성에게 그대로 보고하면서 김일성이 건설 강행으로 심중을 굳혀버리고 말았다.[8]


      1981년 5월 4일에 착공할 당시 김일성은 공사비로 40억 달러[9]를 투입하고 4~5개 군단 규모의 조선인민군 육군 군인(20만 명)과 수만 명의 노동자들을 동원해 이 갑문을 3년여 기간 내에(1984년) 완공시키자고 했지만 방대한 규모와 기술력 부족, 극히 나쁜 작업조건 때문에 완공시한을 2차례 연기해나가다가 계획보다 2년이나 넘긴 1986년 6월 24일에야 완공되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북한의 심각한 재정난과 자재난이 공사기간을 엿가락처럼 늘려버린것이다. 소문에 따르면 그나마도 엄청난 부실공사로 나타나 방파제에서 틈이 벌어지고 물이 새어들어오고 갑문이 망가지면서 육군 1개 건설사단이 보수를 위해 상시 대기중이라고 한다.[10]


      여하튼 '북한 정권수립 이후 최대의 대토목공사'라고 불린 서해갑문은 이래저래 효과는 있었지만 갑문 일대는 그 대가로 상당한 기후 변화를 겪었다. 수자원 확보에 비하면 안개가 늘어난 정도는 감수할 수 있다 쳐도, 문제는 남포항의 기능 확대와 함께 찾아온 기능 악화다. 남포 앞바다는 겨울에 유빙이 떠다니는 정도였을 뿐 바다가 완전히 얼지는 않았는데, 서해갑문 건설 이후 물 흐름이 정체되어 남포항은 매년 80일가량 바다가 결빙되었다. 이를 극복하려면 반드시 쇄빙선이 필요해졌다.어업생산량은 물론 농업생산량도 이전보다 떨어지게 되었다.


      또 다른 문제로 숭어들의 번식이 갑문으로 막히는 바람에 대동강의 숭어 어획량이 급감해버렸다. 1993년 1월 15일, 김일성이 자신의 책임서기였던 전하철에게 평양의 숭어국 식당 사정을 알아보기 위해서 그에게 밥을 먹고 오라고 시켰는데, 숭어국을 주문했더니 명태국을 주는 것이다. 이에 전하철이 옆에서 밥을 먹던 그 식당 단골에게 이 집은 왜 숭어국을 달랬는데 명태국을 주냐고 물으니까 숭어가 있어야 숭어국을 끓이는데 없으니까 명태로 끓인거다. 두부국이나 돼지고기국이 나올 때도 있다 라는 대답을 들었다. 이 보고를 들은 김일성은 그럴 줄 알았다고 한탄하면서 경제일군들을 소집하여 긴급협의회를 개최하고 물고기길건설을 지시하였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서해갑문에 대한 공사는 북한 정권 수립이후 최대의 토목공사라고 불릴정도로 큰 규모의 공사였지만 이로 인해서 기후변화가 심각하게 발생하였다고 해요.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해서 남포항이 매년 80일 정도 바다가 결빙될 정도가 되면서 농업이나 어업생산량이 급감하는 최악의 실패를 겪었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몰라서 찾아보니 서해갑문은 81년 부터 86년까지 5년간 걸쳐 공사했고 당시 40억불 이상 건설비가 들어서 경제에 큰 부담을 주었다네요 지금환율로도 약 5조정도니 당시 북한경제력으론 크게 부담스럽긴했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