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4.01.09

냄새와 맛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맛을 느끼기 위해서는 냄새도 어느 정도 작용을 한다고 하던데 만약 냄새를 맡지 못한다면 맛을 느낄수 없다고 하던데 냄새와 맛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미각세포만 자극이 된다면 아마도 맛은 다 비슷하게 느껴질 겁니다. 하지만 후각세포가 같이 반응하면서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잇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는 후각 세포로 인해서 느껴지게 됩니다이 후각 세포는 미각 세포와 마찬가지로 맛을 느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우리 혀에 미각 세포는 단맛은 맛 짠맛 그리고 감칠맛과 같은 맛을 미뢰라는 세포를 이용해서 감지하게 됩니다.

    냄새는 후각 세포를 통해서 감지되는데 음식을 맛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미국과 후각 세포는 서로 연관을 가지고 맛을 느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냄새를 맡지 못한다면 맛을 느끼는 범위가 매우 제한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맛을 느끼는 것은 여러 감각기관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모든 감각기관을 통해 최종 뇌가 맛을 판정을 하며

    주로 미각을 통해 느끼고 이와 더불어 후각이나 시각을 통해서도 느끼게 되는데

    후각이 떨어지면 정확한 맛을 느끼는것은 좀 어려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맛과 냄새는 둘 다 우리가 음식을 맛있게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냄새는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코를 통해 받아들이는 정보이며 맛은 입 안의 맛감 세포를 통해 느끼는 것입니다. 따라서 냄새와 맛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냄새는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우리의 기억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릴 적에 먹었던 음식의 냄새를 맡으면 그 음식의 맛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냄새를 통해 음식의 맛을 예측하고 좋아하는 음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냄새는 우리의 식욕을 자극하는 역할도 합니다. 우리가 좋아하는 음식의 냄새를 맡으면 먹고 싶은 욕구가 생기게 되고 이는 우리가 음식을 맛있게 느끼는 데 영향을 줍니다. 하지만 냄새를 맡지 못한다고 해서 맛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입 안의 맛감 세포는 냄새와는 별개로 작동하기 때문에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맛과 냄새는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는 맛의 감각과 거의 동시에 느껴지는 감각이기에, 두 감각에 대한 경험이 서로 얽혀있습니다.

    그래서 냄새만 맡아도 맛을 느끼는듯한 감각을 느끼기도 합니다.

    즉 경험 또는 기억에 따른 연결성이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색깔 냄새 맛이 겹치는 것, 즉 색깔 냄새 맛이 거의 같은 물질들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황금의 경우 황금색 말고는 다른 색의 금이 없으므로 물질의 성질이 됩니다.

    (유)황도 노란색입니다. 하지만 금이 아닌 이유는 냄새가 유황냄새가 나고(금은 냄새 없음), 밀도가 금보다 가벼우므로 금이 아닙니다.

    물질의 특성 여러 개를 취합하여 물질을 감별합니다

    냄새와 맛도 같은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와 맛은 감각을 느끼는 절차 및 기관이 틀립니다. 냄새는 냄새 입자가 코 속의 후각세포로 들어오고 난뒤 이를 후각 세포가 감지 하여 뇌속에서 냄새와 향을 인지합니다. 맛의 경우는 혀 속에 있는 미뢰라는 미각세포가 침에의해 녹은 음식물의 분자구조를 파악하여 단맛 짠맛 신맛 감칠만 쓴맛을 느껴 미뢰가 자극하게 되면 뇌로 전달되어 맛을 인지하게 됩니다.

    냄새와 맛 둘다 뇌에서 파악을 하기 때문에 서로 상호작용을 하긴 합니다. 공통된 자극의 경우는 한쪽 기관으로도 파악을 할수가 있는데요, 예를 들어 쓴맛과 단맛은 혀가 아닌 코로도 맛을 느낄수가 있습니다. 실제로 혀보다 후각을 통해 맛을 느끼는 것이 75% 정도로 더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냄새를 맛지 못하면 맛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도 여기에서 파생된 말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와 맛은 서로 다른 감각 체계입니다. 냄새는 코를 통해 인식되며, 맛은 혀를 통해 인식됩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감각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를 막거나 코감각이 둔해질 경우 맛을 느끼는 능력도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와 맛은 두 가지 주요 감각인 후각과 미각이 조합되어 음식의 전반적인 맛을 형성합니다. 후각은 주로 냄새에 반응하며, 입안으로 들어가는 공기 중의 화합물들이 후두 상부에 위치한 후두 후벽에 있는 후두 미각 세포에 부착됩니다.


    이 미립자들은 후두 미각 세포에서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가 뇌로 전송되어 맛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음식을 먹을 때 나오는 특유의 향이나 냄새는 입안으로 들어가는 공기 중의 화합물이 후두 미각 세포를 통해 뇌에 전달되어 맛을 감지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냄새와 맛의 조합은 음식 경험을 풍부하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후각 및 미각 장애들이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면밀한 의료적 관심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장애들은 음식이나 음료수를 즐기고 기분 좋은 향기를 맡을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좌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장애들은 또한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물질 및 가스들을 알아차리는 능력을 방해하여 심각한 결과들을 낳을 수 있습니다. 가끔, 후각 및 미각 손상은 종양과 같은 심각한 장애에서 비롯됩니다.


    후각과 미각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혀의 미뢰는 맛을 확인하고, 코의 신경들은 냄새를 확인합니다. 두 감각들 모두 뇌로 소통이 되며, 뇌는 정보를 통합하여 맛을 인식하고 감상합니다. 일부 맛들—예를 들어 짜고, 쓰고, 달고, 시큼한—은 후각 없이도 인식이 가능 합니다. 그러나 좀 더 복잡한 맛들의 경우(라즈베리와 같은) 미각 및 후각 모두에서의 인식이 필요합니다.


    후각의 부분적 상실(후각저하) 및 완전한 후각 상실(후각소실증)은 가장 일반적인 후각 및 미각 장애들입니다. 하나의 맛을 다른 맛으로부터 구분하는 것은 크게 냄새를 기분으로 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대개 음식 맛이 없어지면 냄새를 맡는 능력이 저하된 것을 처음으로 알아차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와 맛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혀의 미뢰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의 5가지 기본 맛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5가지 기본 맛만으로는 음식의 풍미를 제대로 느낄 수 없습니다. 음식의 풍미는 냄새와 맛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만들어집니다. 냄새는 음식의 화학 성분을 감지하여 뇌에 전달합니다. 이러한 냄새 정보는 맛 정보와 함께 뇌에서 처리되어 음식의 풍미를 느끼게 합니다. 따라서, 냄새를 맡지 못하면 음식의 풍미를 제대로 느낄 수 없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인체는 음식을 먹을 때 입으로 들어오는 냄새와 맛을 구분할 수없습니다.

    음식을 먹을 때 공기 중의 화학 물질들이 코 속에 있는 후가 세포를 자극해서 뇌로 전달합니다.

    이것이 맛을 느끼는데 도움을 줍니다.

    냄새와 맛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냄새를 맡지 못한다면, 맛을 재대로 느끼기 어렵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코가 막히게 되면 맛을 느낄수가 없습니다.

    실제로 코를 막고 간장을 먹을경우 맛을 못느껴서 아무이상없이 먹을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서로 관계가 없다고 했는데요

    최근 연구에는 관계가 있다는 내용이 더 많아요

    특히 냄새는 휘발성 물질로 냄새로 인한 맛을 기억해내는 방식이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0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미각과 후각은 맛을 느끼는데 아주 중요한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특히 후각은 맛을 느끼는데 80프로 이상을 기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