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인류가 처음 정의한 행성의 정의와 지금의 정의가 어떻게 달라졌

인류가 행성에 대한 정의를 내릴 때 명왕성은 태양계 내 행성에 포함되어 있었잖아요.

그때의 기준과 지금의 기준은 어떻게 달라진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능한보석새234
      유능한보석새234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원래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이었지만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새로운 행성의 정의를 발표하면서 태양계에서 퇴출되었습니다. IAU가 새로이 정한 행성의 정의는 크게 3가지 요건이 있는데

      1) 태양 주위를 공전해야 한다.

      2) 자체 중력으로 구형(또는 구형에 근접한) 모양을 유지해야 한다.

      3) 자신의 궤도 주변의 다른 물체들을 제거하거나 지배할만큼의 충분히 큰 질량을 가져야 한다.

      위 3가지입니다. 기존 행성의 정의가 1,2번까지였다면 3번이 추가된 것이죠. 명왕성은 1,2번을 충족하지만 3번을 충족하지 못해 태양계에서 퇴출되어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행성을 "태양 주위를 도는 구형의 천체"로 정의했습니다. 하지만 명왕성 궤도 주변에 에리스 등 비슷한 크기의 천체들이 발견되면서 행성 개수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행성 정의를 세 가지 조건으로 변경했습니다.

      태양 주위를 도는 것

      충분히 큰 질량을 가져 중력으로 스스로 구형을 유지하는 것

      주변 궤도를 맑게 청소한 것

      명왕성은 3번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의 행성 기준은 태양주위를 돌고있어야 하고, 자체중력을 갖고 거의 구형의 형태를 띠어야 하고, 주변의 미행성들을 위성화시키거나 멀리 떠나보내어 깨끗하에 치운 상태여야 합니다.

      명왕성은 위성화를 시키지 못하고 태양공전궤도의 이심률이 커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 내 행성으로 여러 해 동안 인정되었습니다. 그러나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새로운 행성 정의를 채택하면서 명왕성은 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이것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명왕성의 발견: 명왕성은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그 후 명왕성은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으로 인정되었습니다.

      최근 변화: 1992년 이후 쿠퍼 벨트라는 지구 밖의 작은 물체들이 발견되기 시작했습니다.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의 쿠퍼 벨트 물체들이 발견되면서 명왕성의 행성 지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특히 2005년에 발견된 에리스는 명왕성보다 크기가 크다는 점에서 주목받았습니다.

      IAU의 새로운 행성 정의: 2006년 IAU 총회에서 행성 정의를 다시 살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새로운 정의에 따르면, 행성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태양 주위를 돌면서 자신의 궤도를 정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명왕성은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명왕성은 행성이 아닌 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명왕성은 쿠퍼 벨트와 같은 지역에 속하며 궤도를 정리하지 못하는 특성 때문에 행성 지위를 잃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 목록에서 제외된

      것은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새롭게 정의된 행성의 기준 때문입니다

      명왕성의 행성 지위 재정의 전에는

      행성의 명확한 기준이 없었습니다

      기존에는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큰 천체를 일반적으로 행성으로

      간주했습니다

      그러나 2006년 IAU에서는 행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1. 태양 주변을 공전한다

      2. 자체 중력으로 구형의 형태를

      유지할 정도로 충분한 질량을 갖는다

      3. 주변 궤도의 천체를 제거하는데

      충분한 중력 영향력을 가진다

      명왕성은 처음 두 조건은 만족하지만

      세 번째 조건인 '주변 궤도 청소'에

      해당하지 않아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명왕성은 행성에서

      제외되어 현재 태양계는 8개의

      행성을 갖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자신의 위성인 카론과의 무게중심이 명왕성바깥에 존재하여 지배하지 못하였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즉, 위성과 행성간의 관계가 재정의되었고, 이 외에도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의 이심률이 원형형태일 것이라는 조건데도 맞지 않았습니다.

      바뀐 조건은 행성이 거의 완벽한 구형일것, 위성을 지배할 것, 태양공전궤도가 거의 원형일것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