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멋쩍은펭귄105
멋쩍은펭귄10524.03.29

원자는 거의 대부분이 빈공간이라고 하는데, 우리는 어떻게 물질을 볼 수 있는것이며, 투명한 물질의 원자핵과 전자는 왜 보이지 않을까요?

원자는 거의 대부분이 빈공간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물질을 볼수 있으며, 두 물질이 서로의 위치방향으로 접근할 때 빈 공간으로 통과하지 못할까요? 그리고 투명한 물질은 그 물질을 이루는 원자와 전자를 볼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원자가 대부분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매우 빠르게 돌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자핵 자체는 아주 작지만

    전자 구름에 의해

    원자는 훨씬 큰 공간을

    차지합니다

    위치 방향으로 다가오는

    두 물질이 서로 관통하지

    못하는 이유는

    전자들 간의 전기적

    반발력 때문입니다

    이 반발력은 물질이 서로

    닿았을 때 느낄 수 있는

    경계를 만들고

    충돌을 방지합니다

    투명한 물질의 경우

    빛이 그 물질을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특화된

    전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명한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와 전자가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지 않아

    보이지 않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원자는 대부분 빈공간이지만 전자기 빛을 사란시키거나 습후한 후 다시 방출하면서 무질을 눈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투명한 물질은 특정 파장의 빛의 통과시키기 때문에 빛의 경로가 방해받지 않아 우리에게 투명하게 보입니다 원자핵과 전자는 크기가 매우 작아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물질 전체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물질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빛이 물질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빛이 물질 표면에 부딪혀 반사되거나 흡수되는 과정을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정보가 시각을 형성합니다. 하지만 원자는 대부분 빈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보이지 않는데, 이는 빛의 파장이 원자 크기보다 커서 개별 원자 수준에서는 반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두 물질이 서로 접근할 때 빈 공간으로 통과하지 못하는 이유는, 원자를 구성하는 전자 구름이 서로 밀어내는 전기적 반발력 때문입니다. 투명한 물질의 경우, 빛이 그 물질을 거의 그대로 통과하기에 전자기파와 상호작용을 덜 하여 눈으로 인식되지 않게 됩니다. 이렇게 자연의 신비로운 원리들이 모여 우리가 매일 보는 세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이런 궁금함을 가지고 탐구하는 것은 참 유익한 일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