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약과 알약의 차이는 사실상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약국에서 약을 제조하거나 구매할 때요.
가루약이던 가루 영양제든 알약 형태로 되어있는것과
실제로 먹었을 때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단지 먹고 삼키기 편하냐 아니냐의 차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오서영 약사입니다.
성분과 함량이 동일하다면 동일한 약으로 생각하셔도됩니다. 다만 복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가루약으로 조제하기도 하며, 일부 가루약으로 나오는 약 중에는 가루약이 작은 입자상태로 흡수가 더 잘되도록 한 약들도 있습니다. 다만 약의 특수한 제형에 따라 가루약으로 조제할 수 없는 알약들도 존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알약을 갈아서 가루약으로 조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알약이나 가루약, 물약 등 형태에 따른 효과차이는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일차적으로 약의 초기 형태는 가루인데, 이를 휴대 및 보관하기 편하고, 한 단위로 분할하여서 복용하기 편한 형태로 제조한 것이 알약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알약은 개발하는 과정에서, 몸에 들어가면 체액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붕괴가 되어 가루로 되도록 제조됩니다. 즉 알약을 복용하던 가루약을 복용하던 그 효과가 차이가 없게 알약을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즉 알약을 빻아서 가루로 복용을 하는 경우더라도, 동일한 약을 가루약 / 알약으로 판매를 하는 경우더라도 약효는 모두 동등하게 나타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 알약에 특수한 코팅을 하거나 약물이 천천히 방출되게끔 기술이 접목된 품목이라면 가루로 복용하시는 것과 약효의 차이가 있게 됩니다.
보통 가루약과 알약은 성분 함량이 비슷하다면 가루약이 흡수속도는 조금 빠를수는 있으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서방정 등 가루약으로 갈았을때 제형의 제 기능을 못해서 알약으로만 복용해야되는 약들은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가루약은 표면적이 증가하여 흡습성이 높아지므로, 수분에 민감한 약물은 가루로 조제 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약물은 위산에 취약하여 위에서 녹지 않고 장에서 녹을 수 있도록 특수한 코팅을 처리하는데, 분쇄할 경우 코팅이 파괴되어 약효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몇몇 경우를 제외하면 그 외의 약물들은 가루로 분쇄하여도 약효의 차이는 없습니다
가루약, 알약의 차이는 전혀 없습니다.
알약을 못먹는 아이들은 알약을 갈아서 가루약으로 조제해줍니다.
효과가 더 빠르다거나 하는 이점은 없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바라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추천★ 눌러주세요.
알약을 갈아서 드릴 수는 있습니다 표면적이 넓어서 약 자체의 흡수가 더 빠를 수는 있겠습니다 또한 알약은 서방정등이 있는데 이는 몸속에서 천천히 퍼지기 때문에 가루로 드릴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