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했던 25% 관세를 시행 하루 전에 유예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했던 25% 관세를 시행 하루 전에 유예했는데요.
관세 25%는 어제 하루 금융시장을 뒤흔들어 놓았었는데...
시행 하루 전에 유예한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인가요?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두 발표되지 않은 뒤로 합의가 어느정도 있었던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대로 중국의 관세는 유예하지 않았고 오히려 서로 맞보복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실제 미국의 목표가 캐나다와 멕시코 보다 중국에게 칼을 겨눈 것으로 유추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캐나다 총리,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나서 원하는 약속을 받아내고 관세를 한 달 유예했습니다. 세부적으로 캐나다는 미국에 마약 문제를 담당하는 '펜타닐 차르' 임명, 국경 강화 계획에 13억 달러 투입, 국경에 마약 차단을 위한 인력 1만명 유지, 마약 범죄 조직을 테러리스트로 지정, 마약 및 범죄, 돈세탁 대응을 위한 양국 합동 타격 부대 발족 등을 약속했고, 멕시코는 마약 및 불법 이주민 단속을 위해 국경 지역에 1만명의 군인 파견 등의 방침을 밝혔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25% 관세 시행을 유예한 이유는 캐나다와 멕시코와의 협상 진행을 고려한 것으로, 무역 협정 수정에 대한 추가 시간 확보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금융시장 불안정과 경제적 타격 우려를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미국의 입장에서도 관세 전쟁이 벌어지면 경제에 타격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일종의 치킨게임을 강행한 것인데요.
이것은 출혈을 감수하면서 관세 부과를 예고하여 위기감을 고조시키면서도, 원하는 것을 취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관세 부과를 앞두고 캐나다와 멕시코가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밝혔으니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이 잘 먹힌 셈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멕시코와 캐나다에 부과하기로 했던 관세 유예한 배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유예가 된 것은 정상끼리 어느 정도의 이유를 갖고 합의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마도 목표는 중국이지만 이에 따라서 동맹국을 적으로 삼는것은 미국 외교 국익에도 도움이 안되서 그럴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멕시코나 캐나다 등이
자국 국경에 마약 단속 및 불법이민자 단속 등을 위한
인원을 배치한다고 하는 등 이에 따른 유예를 한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러프 미국대통령이 관세부과를 미룬것은 멕시코나 타국들의 엄청난 반대에 따른 한발 무러서기라고 보입니다. 투자자들에게는 다행이지만, 트럼프에게는 약간의 자손심에 스크레치가 나지 않았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