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천지개벽
천지개벽20.03.19

수면시간이 짧으면 치매에 걸릴 확율이 높다고 하는데 그것이 사실일까요?

어른들이 말씀하시길 잠을 많이 자야, 키가 쑥쑥 잘큰다,혹은 잠을 많이 자야 이뻐진다, 이런 말씀들을 많이 하시고 그렇게 듣고 자란, 기억이 있는데 반대로 수면시간이 짧으면 치매에 걸릴 확율이 높다는 말이 있는데 무엇때문에 그런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면시간과 치매 상관성 설명할 수 없어”

    # 치매 초기 증상 중 잠이 쏟아지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많은 연구결과가 마치 잠을 많이 자서 치매가 생긴 것처럼 보이게 한다. 하지만 일단 신체적·정신적 병력부터 체크해봐야 한다. 나이가 들어 기억력 감퇴, 우울증 등이 발생하거나 이해력이 떨어지면 뭘 해도 재미가 없어진다. 인지기능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수면시간이 늘어난다. 게다가 은퇴 후 사회활동이 줄면 외부 자극과 뇌 자극이 줄어든다. 상황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

    # 연구 결과를 보면 꿈을 꾸지 않으면 치매 위험이 증가한다고 하던데, 사실인가?

    “결국 꿈의 기능에 대한 이야기다. 꿈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 꿈을 꾸는 동안 뇌가 낮 동안 얻었던 정보를 저장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꿈을 꾸지 않으면 저장이 되는 과정 자체가 사라진다. 그래서 꿈을 꾸지 않는다는 것은 뇌가 제대로 활동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뇌를 다친 사람들, 뇌졸중 환자 등에서는 꿈 수면이 적은 경향을 보인다. 쉽게 말해서 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면 수면 리듬이 와해돼 꿈 수면도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면시간 중 25%는 꿈 수면이 있어야 한다.”

    # 수면의 ‘양’과 ‘질’이 건강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과학적으로 권장되는 수면의 양과 질은?

    “양은 수면의 길이를 말한다. 보통 성인 기준 78시간이 권장된다. 질은 모호한 개념일 수 있는데 대개 개운하고 다음날 낮에 졸음을 느끼지 않는 정도를 말한다. 수면의 질을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수면다원검사다. 뇌파를 통해 잠의 깊이를 분류하는데, 이때 12단계 낮은잠보다 델타파가 나오는 깊은잠의 상태 비율이 높으면 수면의 질이 높다고 말한다.


    갓난아기의 경우 이 상태가 30%, 어린아이들은 15~20%의 비율을 보인다. 그러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5%도 채 나오지 않으면서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 한 가지, 수면 구조의 유지가 중요한데 꿈 수면, 즉 램수면 상태가 25% 정도 나와야 한다.”

    “4시간만 자도 피로하지 않은 것은 유전적 요인”

    # 4시간 이하 잠을 자고도 피로감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체감이 아닌 과학적으로도 이러한 수면 상태가 건강하다고 볼 수 있나?

    “이것은 유전적 요소와 관련이 깊다. 대개 5% 정도의 인구가 유전적 요인으로 수면 시간이 적어도 일상생활 유지에 무리가 없다. 그밖에 경조증 등의 상태에 있는 사람들도 적게 자고 스스로 괜찮다고 느끼면서 지내기도 한다. 건강상에 무리가 있는지는 종합적으로 체크해봐야 한다.“

    출처 : 헬스코리아뉴스(http://www.hkn24.com)


  • 수면시간과 치매는 밀접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치매 예방법으로 충분한 잠을 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말은 사실 우리가 기억이 잠을 자면서 머리 안으로 흡수가 되는 현상이 나오는데 뇌세포가 죽지 않고 계속해서 활동하게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수면 무호흡 환자분들도 있는데, 이런 수면 무호흡환자분들은 치매 원인물질인 아밀로이드 뿐만 아니라 타우단백질이 있는데 이것이 변성이 되는게 수면무호흡에 의한, 저산소증으로 인해서 타우단백질의 변성이 더 가속화 됩니다.

    그래서 수면무호흡 환자분들이 치매 걸릴 확률이 훨씬 높답니다.


    잠을 자는 것은 단지 내가 피곤해서 쉬었다가 아침에 일을 하기 위해서 잠을 자는 것이 아니라 뇌세포 안에 치매에 걸리지 않도록 밤동안 여러가지 활동이 일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잠을 주는 변화입니다.

    1. 불필요한 물질 청소

    2. 타우단백질 변성되지 않게 보호

    3. 기억이 오래 저장될 수 있도록 정리


    결론적으로 이런 시간들이 수면시간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들이 밤을 자주 새우면 치매에 더 빨리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치매 예방법 으로 충분한 수면을 해야합니다.


  • 인간은 인생의 3분의 1을 수면에 쓴다고 합니다.

    학습과 기억력, 육체 건강, 정신 건강 모든 영역에서 수면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연구 흐름 속에 인생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수면과

    치매의 관계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실제로 불면증이 알츠하이머를 유발할수있는 연구 결과가있습니다


  • 숙면을 못하거나 수면시간이 줄어들게 되면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신경이 날까로워지고 피곤해집니다. 그러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하는것이 좋은데 수면결핍의 경우 우리가 깨어 있는 시간에 생성이되는 기억을 저장 처리하는 능력이 손상이 되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수면을 충분히 하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보편적으로 7시간에서 9시간정도의 수면을 하는것이 좋고 일어났을때 개운함을 느끼게되면 질좋은 수면을 하였다고 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