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가 나고 빠진 뒤 영구치가 나는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어릴 때 유치가 난 뒤 다 빠지고, 영구치로 새로이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강아지들도 보면 그러는데 유전학적으로 추정하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영구치에 대한 치아싹도 갖게됩니다.
이 치아싹이 적절한 때가되면서 성장하게 되고, 유치가 빠질때쯤에 맞춰 성장하여 영구치가 성장하면서 맹출하게 됩니다.
유치만으로는 치아를 평생쓰기 어렵고, 따라서 영구치를 사용하게 되며, 개인에 따라서 영구치가 부분적으로 결손인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해당부분은 유치로 평생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더욱더 관리가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인간의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서이며 영구치가 아래에 있다가 자라나오면서 유치의 뿌리를 녹이고 유치가 빠진 자리로 올라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유치 아래에 유전적으로 영구치가 위치하게 됩니다. 즉 유치가 위로 올라오고 밑에 영구치 치배가 자리잡고 있어 영구치 치배가 성장하면서 위로 올라오면 유치가 흔들리고 빠지면서 영구치로 바뀌는 것입니다. 즉 새롭게 난다기 보다는 이미 잇몸 밑에 존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유전적으로 추정하는 것은 사람마다 유전적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사람의 치아는 유전자 에서 부터 결정 됩니다.
사람에게는 평생에 2번 치배(치낭)이 형성되기 때문 입니다.
보통 치아 갯수는 유치는 20개, 영구치는 28~32개(사랑니 포함) 입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치가 빠지고 난뒤 영구치가 나는게 아닙니다. 유치가 다 맹출되고 영구치가 나오면서 유치의 뿌리를 녹이면서 맹출되기 떄문에 유치가 흔들리게 되고 유치가 빠지게 되는겁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