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6.19

전기회로에서 저항은 무엇에 의해 정해지나요?

전기회로에서 전압은 전류와 저항의 곱으로 그 수치가 정해지는데요. 여기서 저항값은 물질마다 각각 다른데 어떤성질을 가질수록 저항값이 높아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은 전기를 방해하는 힘 입니다

    저항의 크기는 전선에 비교하면 전선이 만들어진 물질의 저항계수에 비례하며 길이에 비례합니다

    그리고 굵기에는 반비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회로에서 저항은 전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재질의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저항은 일종의 전기적 마찰력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전기적인 에너지가 전자를 이동시키면, 재질 내부의 입자와 충돌하면서 전자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렇게 전자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면, 전기적인 저항이 발생하게 됩니다.

    저항은 재질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재질의 전기적 특성은 저항성으로 표현됩니다. 저항성은 단위 길이당 재질의 저항과 단위 면적의 횡단면적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저항성이 높을수록 재질은 전기적으로 불량하며, 전기적인 저항이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저항은 전자기파의 주파수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주파수 의존성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회로를 설계하고, 저항값을 선택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인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회로에서 저항은 물질의 종류와 길이, 단면적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류는 저항이 낮고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유전체류는 저항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은 전자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의미하기도 하여 원자핵간 거리가 좁거나 자유전자수가 적은경우에도 저항정도가 올라갑니다.

    예를들어 나무토막은 금속들처럼 표면에 자유전자가 거의 없어 전기를 흘려도 통하지않는것이죠.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의 저항값은 길이, 단면적, 저항성, 온도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길이가 길고 단면적이 작거나, 저항성이 높고 온도가 높을수록 저항값이 높아진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의 저항값은 물질 내의 이온, 전자의 이동성, 전자와 이온 사이의 충돌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온도에 따라서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값도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