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Youangel
Youangel
24.04.23

배터리는 가만히 놔둬도 방전되는건지요?

안녕하세요 핸드폰 배터리를 사용할려고할때 가만히 오랜시간 놔뒀을때 방전되었던 경험이 있는데 맞는건가요? 그렇다면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신희재 전문가blue-check
    신희재 전문가
    서울대학교
    25.01.10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배터리는 사용하지 않고 가만히 놔둬도 자연 방전이 발생합니다. 이는 배터리 내부의 전기화학적 반응과 자가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배터리 안의 전해질과 전극 간에 아주 미세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전하가 소모되는 것이죠. 배터리의 종류나 보관 환경에 따라 방전 속도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의 방전이 불가피합니다. 따라서 장기간 보관해야 할 경우 적정한 충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

    핸드폰에 들어가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가만히 놔둬도

    화학반응을 스스로 일으켜요.

    배터리가 혼자서 따뜻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내부적으로는

    리튬이온이 전해질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음극으로 건너가면서 열이 발생한것입니다.

    핸드폰 설계 역량에 따라서

    전류가 미세하게 흘러나가기도 하죠.

    이전류는 배터리로부터 나온 전류이구요.

    그래서 배터리들은

    가만 놔둬도 자연 방전이 되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배터리는 가만히 놔둬도 방전되는데, 이를 자기 방전이라고 합니다. 자기 방전은 모든 배터리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화학 반응이나 내부 저항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은 지속적으로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약간의 에너지가 열로 손실되어 방전됩니다. 또한, 모든 전기 소자에는 약간의 저항이 존재하며, 배터리 역시 그렇습니다. 이 내부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동안 열을 발생시켜 배터리의 방전을 유발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식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세하지만 방전이 됩니다.

    대기 중에 음전자와 양전자가 존재합니다. 벼락을 치고 번개가 번쩍거리는 것도 대기 중에 떠돌아 다니는 양전자는 양전자끼리 많이 몰리고 음전자는 음전자끼리 많이 몰린 상태에서 서로 부딪히거나 양전자가 대지와 부딪히면 벼락을 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기 중에 배터리를 두면 배터리 양극에는 대기 중에 음극이 배터리 음극에는 대기중에 양극이 접촉해서 미세하지만 방전이 됩니다. 방전을 방지하는 방법은 배터리 양ㆍ음극에 테이프를 붙여두면 그냥 두는 것 보다 방전이 덜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배터리 내부에서는 화학 반응이 계속 진행되어 전자가 방출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전자는 외부 회로로 방출되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 때 전류가 방전으로 이어져 배터리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또 배터리 자체의 내부 저항으로 인해서도 방전이 일어나는데 이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너지가 화학 에너지를 소모시키기때문입니다. 이렇게 화학 반응과 내부 저항에 의해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배터리를 그대로 방치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차례로 방전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온도가 높을수록 이 자가 방전 속도는 더 빨라지기때문에 여름철 뜨거운 곳에 놔둔 배터리가 금방 방전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