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 없어 꼴 같지 않게 두 뜻이 나쁜 뜻이 잖아요
재수없어보다 꼴 같지 않다라는게 왜 더 나쁜 뜻이에요 재수없다 꼴 같지 않다 다른 말이에요 똑같은 말이에요 배우자나 어린 자녀한테 재수없어 꼴 같지 않게 이런 말 하면 안되죠
맞습니다. 바르고 고운 우리말 들이 많이 있죠
센 언어를 많이 사용 하면 행동도 많이 거칠어 집니다
폭력적이거나 친구들에 대해 적대적으로 변 할 수도 있습니다
바르고 이쁜 언어를 사용 하면 윤리적이고 도덕 적인 아이가
될 수 있는 경우들이 훨씬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한테 안 좋은 말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 역시도 대우 받고, 존중 받아야 할 인격체 이기 때문에 말은 고운말, 바른말을 사용해 주셔야 합니다.
말은 '아' 다르고, '어' 다릅니다. 말은 함부로 상대에게 한다면 그 상대의 감정을 아프게 하고, 마음을 다치게 하고,
그 사람의 인격을 모독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기에 언어는 바르게 사용하여야 하고, 상대를 존중하고, 상대의 감정을 다치게 하지 않아야 합니다.
성숙한 어른으로 행동을 하셔야 합니다.
말은 그 사람의 인격과 인성을 나타내고, 말 한마디에 천냥 빛을 갚는다 라는 말처럼 좋은 말 한마디가 미치는 영향이 그 만큼 크다는 뜻입니다. 그렇기에 말은 항상 조심해야 하구요.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라는 말처럼 말은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되돌아 오는 답이 좋고, 나쁨으로 갈라지기에 항상 말은 조심해야 합니다.
언어는 그 사람의 인격입니다.
그 사람의 말하는 표현을 보면, 그 사람이 살아온 삶 그리고 인격을 알 수 있습니다.
정중하게 언어표현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시고,
똑같은 사람은 되지 마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맞습니다. 이런 좋지않은 말들은 아이들을 키우는 사람들 입장에서 절대해서는 안 되는 말이고 아이들이 이런 말을 듣게 되면 반드시 상처를 받기 때문에 절대 듣게 해서도 안 되는 이야기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