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갸름한꽃무지205
갸름한꽃무지20523.03.15

이율 올려서 미국은행들 돈잔치 하는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닌가봐요?

요즘 국제 뉴스 보면 이자 올려서 미국은행들 돈잔치 하는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닌가봐요? 은행들 파산하는 이유가 있으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과거 부산저축은행도 캄보디아인가? 에 엄청난 돈을 투자해서 건물을 지었는데요

    분양이 반도 안되었다고 하더라고요

    그 투자금이 바로 은행에 돈을 넣은 시민들의 돈입니다

    사업투자실패 정보가 나자 시민들은 뱅크런을 시도했는데요

    이미 저축은행 고위급들과 관련된 돈받은 정치인들 모조리 도망갔죠 돈들고

    그래서 모정치인은 징역살았는데 정말 잠깐 있다가 나오고 돈도 엄청해먹었는데 조금만 추징했답니다

    실리콘밸리사태는 비리는 나타나지 않았고요

    저금리때 싸게 발행한 채권이 고금리가 되면서 내줘야할게 많아지며 그리되었다고 합니다

    시민들은 불안해졌고 앞다투어 인출을 시도하게 된거고요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실채권에 대한 회수가 안되면 리스크를 떠안고 경영악화로 내몰릴수있을것입니다. 안정적인 대출에 대한매출채권이 많아야하는데 항시 대출사업은 리스크를 가지고있으므로 경영자관리부실은 심각한사태도 이번처럼 초래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상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에 풀린 돈이 은행으로 되돌아와야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사태를 해결하기위해 시중에 돈을 엄청 풀었는데,

    기준금리를 올려도 은행 예금을 하지 않는다면, 은행은 새롭게 돈을 발행해야합니다.

    돈은 동맥경화처럼,

    돈줄이 막혀 유동성이 없어지면 문제가 발생하니까요.

    돈은 잘 돌아야합니다.

    그런데 돈을 돌리는 방법에는 신용이라는 것이 있어야하죠.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은 가장 안전한 자산인 미국 장기국채를 사 두었습니다.

    예치금을 은행이 그대로 가지고 있어서는 수익을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이죠.

    그런데 역사적으로 유례가 없는 FOMC의 금리인상이 연속되자,

    미국 장기국채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의 이름이 말해주듯이,

    이 은행은 주로 창업(스타트업, 벤쳐기업) 자금을 대는 은행이고,

    창업자들은 이 은행을 직원 급여통장으로 사용하여 신용을 서로 증명할 것입니다.

    그런데 뱅크런이 일어났죠.

    예금주들이 SVB를 믿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은행이란, 단기자금(예금은 언제 빠져나갈 지 모르기에 이자율이 낮죠)을 받아 장기자산(이자율 높음)에 투자합니다.

    은행은 지불준비금을 10% 정도만 유지하고 있기때문에, 10% 이상의 예금을 찾으려고 하면 뱅크런이 발생하죠.

    SVB가 연방준비은행이나 다른 급전을 빌려서 막을 수도 있지만, 거부되었습니다.

    SVB가 가진 자산을 담보로 급전을 빌리거나, 부동산 자산을 매각해 예금을 찾으려는 고객에게 지급하면 되지만, 이것도 기다려 주지 않았죠.

    그래서 이틀만에 파산해 버렸습니다.

    SVB와 시그니처은행을 파산선언해 버린 연방정부는 미국의 모든 은행의 예금주, 전세계 모든 은행들의 예금주에게 금융불신을 심어준 것입니다.

    다행히 월요일 은행들이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바이든대통령은 예치금지불약속을 했는데요.

    SVB의 자산을 모두 팔면, 예금주들에게 지불하고도 남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유동성이죠.

    지금 당장 지불할 수는 없기때문에,

    민법상 채무불이행인 디폴트선언같은 지불불가를 은행이 선언하게 되고,

    연방정부는 은행에 대한 지불보증을 이행해야하는데, 이를 거절해 버린 것입니다.

    그러나 파급력이 너무나 클 것으로 우려한 바이든정부는 다시 지불보증을 이행하겠다고 선언해야만 했는데요.

    영국의 SVB지사는 영국 HSBC 자회사에 1파운드(1,600원)에 매각되어 예금주들의 예금은 HSBC가 지불보증을 한 셈이죠.

    은행이 파산하는 이유는,

    예금주가 자신의 예치금을 찾아가려고 하는 데, 은행이 준비하고 있는 지불준비금이 모자라, 다른 방법으로 돈을 구하는 것이 실패했을 때 일어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행의 경우 우리나라의 은행들이 대출수익이 70%이상인 것에 비해서 대출의 수익비중구조가 40%정도로 구조가 달랐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경우에는 고정금리 비율이 90%정도로 우리나라가 변동금리 비율이 92%에 달하였던 것과 확연한 차이가 있어 금리인상에 따른 수익추가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은 이러한 은행의 수익구조와 연관되어 있는데, 해당 은행의 파산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드릴게요

    •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 실리콘밸리은행이 안전자산으로 투자하였던 채권의 가치 하락 (거래가격의 하락)

    • 실리콘밸리은행을 거래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은 금리상승으로 인해서 유동성 하락

    • 은행거래을 거래하는 스타트업기업들의 유동성 하락에 따른 예금 예치 감소 및 자금 사용 증가에 따른 예금인출 증가

    • 기업들의 예금인출을 위해서 보유중이던 채권의 매도
      (대출채권 회수는 만기전에 불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자산 회전이 가능한 채권을 매도)

    • 채권의 만기 전 매도로 인하여 채권 손실이 발생, 이로 인해 은행의 손실 규모 확대

    • 실리콘밸리 내 펀드회사가 실리콘밸리은행의 상황을 SNS에 알리면서 예금자보호금액인 25만달러 이하 금액으로만 유지하라고 함

    • 실리콘밸리은행을 거래하는 많은 기업들이 한번에 자금 인출을 하려고 시도 (뱅크런사태)

    • 예금부족으로 인한 파산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VB 파산의 이유는 코로나 시대에 엄청난 성장을 보이던 은행이 채권을 매입하며 금리인상시즌에 채권의 가격이 떨어지면서 파산에 이르게 된것입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31409072887174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은 다양한 이유로 파산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불충분한 자본: 은행은 손실에 대한 완충재로 일정 수준의 자본을 유지해야 합니다. 은행의 손실이 자본금을 초과하면 지급 불능 상태가 되어 파산을 선언해야 합니다.

    2. 부실한 위험 관리: 은행은 차용인에게 돈을 빌려주고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하며, 위험한 투자를 하거나 위험한 차용인에게 빌려줄 경우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3. 경기 침체기: 경기 침체기에 은행은 대출 불이행 증가와 자산 가치 하락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당한 손실이 발생하고 자본이 잠식될 수 있습니다.

    4. 사기 또는 위법 행위: 은행은 직원 또는 경영진의 사기 또는 위법 행위로 인해 파산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은행의 임원이 불법 활동에 관여하거나 은행의 재정을 잘못 관리하면 재정적 손실과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5. 유동성 문제: 은행은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능력에 의존합니다. 은행이 유동성 문제로 돈을 빌리거나 빌려줄 수 없다면 파산 및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은행도 예대마진으로 돈을 벌어들이는데 금리가 오를 수록 대출 수요는 줄어들고 예금수요만 오르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일부 수익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번 svb 파산은 예금을 찾을수 없게되는 것이 아니냐 하는 불안감에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VB뱅크의 경우 고객이 예치한 금액을 대부분 이율이 낮은 국채나 모기지 채권에 투자하다,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예금자의 자금이출이 급격히 발생하였고, 보유현금이 적었던 SVB는 국채 등을 팔면서 손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에 결국 유동성 부족으로 파산하게 된 사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