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치기라는 단어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한국에는 거의 없지만 세계 길거리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범죄가 소매치기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소매치기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매치기란 옷소매안에서 물건을 훔친다는 말로 일본말 쓰리 즉 쓰리하러 간다라는 뜻입니다.
쓰리가 순화되어 소매치기가 된것이고 어원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소매치기의 어원이 궁금하군요. 소매치기의 어원을 찾아보니 다음과 같았습니다.
소매치기는 혼잡한 곳에서 남의 물건을 슬쩍 훔치는 사람을 말합니다. 소매치기는 생각보다 오래된 절도 수법입니다. 조선시대에 도포 소맷자락이 꽤 길어서 외출 시 호주머니가 없는 도포나 두루마기를 입는 양반층이 주머니 대신 소맷자락에 물건을 넣어 다닌 데에서 온 단어 ‘소매’와 물건을 꺼내 간다는 방법 ‘치기’의 합성어가 소매치기라고 합니다.
(출처: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매치기는 혼잡한 곳에서 남의 물건을 훔치는 사람으로, 조선시대에 도포 소맷자락이 길어서 외출 시 호주머니가 없는 도포나 두루마기를 입는 양반층이 주머니 대신 소맷자락에 물건을 넣어 다닌데서 온 단어 소매 와 물건을 꺼내어 간다는 방법 치기의 합성어 입니다.
흥선대원군이 도포 자락의 폭을 줄인 후 물건을 넣기 힘들게 되므로 고종 이전부터 있었다 추측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
すり [掏摸] 소매치기. 〔동의어〕きんちゃく切きり.
즉, 일본말의 "쓰리"에서 온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선 별로 사용하지 않던 말이며,
옛날 분들은,
소매치기를 당하다는 말을 쓰지 않고,
쓰리 맞다 라는 말을 더 많이 쓰시다가,
현재, 마치 한국말 사용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원을 찾기 힘든 것이지요.
물론 그 뜻은, すり [掏摸] 에서 온 것이지요.
だきつき-すり [抱き付き掏摸] 몸 가까이 접촉하여 슬쩍 지갑을 훔쳐 가는 소매치기.
* 특히 아래를 참조하세요...쓰리란 단어가, 소매치기로 순화되었다고 써있습니다.
도모 [掏摸]
[명사]=소매치기.
쓰리 [←(일본어)suri[掏摸]]
[명사]‘소매치기’로 순화.
掏 가릴 도
摸 본뜰 모, 더듬을 막
이므로, " 가리고 더듬는 자 " 가 바로 소매치기인 셈이지요 ^^
2)
cupid_j7 2003.10.20 13:43
님이 등록하신, 오픈 백과의 어원을 참조하셔도 좋습니다.
(어원)소매치기 : 혼잡한 곳에서 남의 물건을 슬쩍 훔치는 사람.
옛날 사람들이 입고 다니던 두루마기 따위 웃옷의 좌우에 있는 옷소매는 폼이 크고 넓어서 흔히 그 안에 돈이나 다른 귀중한 물건들을 넣어 가지고 다녔다. 그 옷소매 안에 있는 돈이나 물건을 훔친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
출처 : [도서] 우리말 유래 사전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매치기는 남의 몸이나 가방을 슬쩍 뒤져 금품을 훔치는 짓이나 그런 사람을 뜻하는데요. 조선 시대 두루마기 소매 안에 있는 돈이나 편지등을 훔치는 좀도둑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하네요. 영어로는 pick pocketing 이라고 하는데요. 서양에서는 소매라는 게 없으니 그냥 털기 정도가 되겠 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