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햄버거왜이리맛나냐
햄버거왜이리맛나냐

시골에 가서 감나무를 10개 키우는게 꿈입니다. 감나무 키우는법 알려주세요

시골에 가서 감나무 10개 키우는 게 꿈인데 감나무 키우는 법이나 관리 방법 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어떤 토양이 좋고 심는 시기나 물주기 가지치기 방법 등 궁금한 게 많아서요~~ 자연 속에서 직접 감을 따는 게 정말 꿈인데 자연과 농사에 관심 많으신 분 계시나요?? 알려주세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감나무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토양에 비교적 잘 맞는 과수로, 비교적 관리도 쉬운 편이지만 건강하고 잘 익은 감을 수확하려면 몇 가지 꼭 알아두셔야 할 과학적·농업적 원칙이 있습니다. 아래에 감나무 재배의 핵심 요소들을 토양, 심는 시기, 물주기, 가지치기, 병해충 관리 순서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토양과 위치 조건

    감나무는 배수가 잘 되는 사양토 또는 양토, 즉 물이 고이지 않고 통기성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토심(흙의 깊이)이 깊고, pH 5.5~6.5 정도의 약산성 토양이 이상적입니다.

    • 햇빛도 매우 중요합니다. 일조량이 충분한 남향의 비탈진 땅이 이상적이며, 양지바른 장소에 심으면 과실 당도도 높고 병해충에도 강해집니다.

    2. 심는 시기

    감나무는 봄(3~4월) 또는 가을(10~11월 낙엽 직후)에 심는 것이 좋습니다.

    • 봄 식재는 뿌리 활착 후 성장 기간이 길어 초보자에게 더 적합합니다.

    • 묘목 선택 시 2~3년생 접목묘(속성재배를 위해 접목한 것)를 고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감 품종(떫은감 vs 단감)에 따라 접목 종류도 달라집니다.

    3. 물주기

    감나무는 비교적 건조에 강하지만, 어린 시기에는 수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처음 심은 후 1~2년간은 뿌리 활착을 위해 봄여름 주 12회 정도 깊게 물을 주는 것이 좋고,

    • 장마철 이후에는 과일이 커지고 당도를 높이기 위해 너무 과습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 성목(어른 나무)이 된 이후에는 일반적인 기후 조건에서는 따로 물을 주지 않아도 되며, 극심한 가뭄 때만 추가로 급수하면 됩니다.

    4. 가지치기 (전정)

    감나무는 형성 전정(형태 잡기)과 갱신 전정(수형 유지 및 수세 조절)이 모두 필요합니다.

    • 겨울(1~2월)에 하는 휴면기 전정이 기본입니다.

    • 처음 3년간은 나무의 틀을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하며, 보통 개심형(중간 줄기를 짧게 자르고 측지로 수형을 만드는 방식)이 많이 쓰입니다.

    • 성목이 된 후에는 햇빛이 골고루 들어가도록 밀집된 가지, 병든 가지, 아래로 처진 가지, 안쪽으로 향한 가지 등을 잘라줘야 합니다.

    5. 비료와 병해충 관리
    • 거름주기는 겨울(12월~1월) 밑거름, 봄철 새순 전 웃거름, 수확 후 보충거름의 세 번이 중요합니다.

    • 유기질 퇴비와 질소(N), 인산(P), 칼륨(K) 성분을 균형 있게 줘야 하며, 특히 질소 과잉은 가지는 크지만 감 품질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대표적인 병해충은 감꼭지나방, 감응애, 감나무혹진딧물, 탄저병 등이 있습니다.
      친환경 재배를 원하신다면 유인트랩, 유황석회액, 천연농약(마늘·고추 추출액 등)을 병용하거나, 성충 발생기 예찰 후 최소량의 약제를 사용하는 방식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6. 수확 시기와 수확법
    • 떫은감은 보통 10월 중순~11월 초, 단감은 9월 말~10월 중순에 수확합니다.

    • 과실이 익기 전 비가 많이 오면 당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수확 전 2~3주 동안은 물 관리가 중요합니다.

    • 손으로 따거나 전정가위를 이용해 꼭지를 0.5cm 정도 남기고 자르는 방식으로 수확하며, 곧바로 그늘진 곳에서 후숙하거나 저장합니다.

    추가 팁으로는 주변에 풍매수정(바람이나 곤충을 통한 수분)이 잘 이뤄지도록 수분수(다른 품종)를 함께 심으면 수확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감나무는 수확까지 시간이 좀 걸리는 편이라 심은 후 최소 2~3년은 기다려야 수확이 가능하다는 점도 참고해주세요.
  • 먼저 감나무는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가장 선호합니다.

    물이 고이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만약 밭이 진흙이 많거나 물 빠짐이 좋지 않다면 두둑을 만들거나 흙을 개량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양토와 모래, 점토가 적절히 섞인 정원 흙이 좋습니다. 퇴비나 피트모스 등을 섞어주면 토양의 통기성과 배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약산성에서 중성인 pH 6.0~7.5 범위가 이상적입니다. 필요하다면 석회 등을 사용하여 토양 산도를 맞춰줄 수도 있죠.

    그리고 감나무를 심는 시기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먼저 11월 하순부터 땅이 얼기 전까지 가을에 심는 것이 원칙입니다. 가을에 심으면 겨울 동안 뿌리 활착이 잘 되어 이듬해 봄에 더욱 왕성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하지만, 2월 하순부터 3월 하순까지가 봄에 심기도 하는데, 추운 지역에서는 가을 심기 시 동해 피해가 우려될 수 있으므로, 이른 봄에 얼음이 녹은 후 심는 것이 유리한 경우죠.

    또 감나무는 물을 좋아하는 편이지만, 뿌리가 물에 잠기는 것은 싫어합니다. 특히 어린 나무일 때는 꾸준한 물 관리가 중요합니다.

    그레서 날씨에 따라 다르지만, 적어도 일주일에 한두 번은 뿌리 전체가 깊게 젖도록 흠뻑 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가뭄에는 더 자주 물을 주는 것이 좋죠.

  • 감나무는 햇볕이 잘 들고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 11월부터 이듬해 4월 사이 휴면기에 심는 것이 적합합니다. 심은 직후에는 뿌리가 활착하도록 물을 충분히 주고, 이후에는 토양 표면이 말랐을 때 관수하며 가뭄 시에만 신경 써주면 됩니다. 가지치기는 겨울 전정 시기에 맞춰 겹치거나 아래로 처진 가지, 병든 가지 등을 제거하여 나무 안쪽까지 햇볕이 잘 들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