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천연기념물 황조롱이
천연기념물 황조롱이23.01.08

지급준비율 제도가 무엇인가요?

도대체 지급준비율 제도가 무엇이길래 중앙은행에서 지급준비율을 조작해 시중 자금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건가요? 이해하기 쉬운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지급준비율 제도는 중앙은행에서 각 은행에게 반드시 예치시켜야 하는 필수 금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 이 비율이 올라가면 시중에 풀리는 돈의 금액이 줄어들고 자금 유통량을 줄이면서 돈줄을 조일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대에서는 지급준비율을 올리고 경기가 어려우면 내리면서 시중의 자금으로

      경제상황을 조절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급준비제도란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지급준비금 적립대상 채무의 일정비율(지급준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으로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을 조정하여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고 금융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지급준비제도는 198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통화정책이 통화량 중심에서 금리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그 활용도가 과거에 비해 저하된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에서 여전히 중요한 통화정책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비금 비율은 금융 기관이 현금 또는 중앙 은행에 준비금으로 보유해야 하는 예금의 비율입니다.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을 경제의 통화 공급을 규제하고 시장 자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앙은행이 준비금 비율을 높이면 금융 기관이 예금의 더 많은 비율을 준비금으로 보유해야 하므로 돈을 빌려주는 데 더 많은 비용이 듭니다. 이는 금융 기관이 대출할 수 있는 자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경제의 통화 공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지급준비율을 낮추면 금융기관이 돈을 빌려주는 비용이 낮아져 경제에서 돈의 공급을 늘릴 수 있습니다.

    준비금 비율을 조작함으로써 중앙은행은 시장 자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물가 안정 및 경제 성장 촉진과 같은 통화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급준비율은 중앙은행이 통화 상황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많은 도구 중 하나일 뿐이며 지급준비율 변화의 구체적인 영향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지급준비금 적립대상 채무의 일정비율(지급준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지급 준비금으로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중앙은행은 지급 준비율을 조정하여 금융기관의 자금 사정을 변화 시킴으로써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고 금융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급 준비율을 올리면 은행들은 더 많은 자금을 지급 준비금으로 예치해야 하기 때문에 대출 취급이나 유가증권 매입 여력이 축소되고 결국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되지요. 이에 따라 시중 유동성이 줄어들게 되고, 과도한 대출 증가로 인한 금융 불안 가능성도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쉽게 설명 그리자면 은행에서 예금 인출에 대비해서 슈신 예금이나 적금의 일정 비을만큼 은행 내에 유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익히 아시는 바 대로 은행은 고객의 예적금을 기반으로 대출 및 투자를 통해 예대마진과 투자 수익을 추구합니다. 가능한한 유동성 전부를 운영하고 싶으나 금융 당국이 일정 비율을 은행 내에 유보할 것을 규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