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8

어린이집 등원할때마다 너무 울어요

어린이 집에 다닌지 벌써 7개월 인데 아직도 등원시 울어요. 어른이집에서는 엄마와 애착 문제라는데 어떻게 하면 아이가 즐겁게 등원할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 간지 7개월 된 아이가 아직 적응을 못하고 있어 답답하고 힘드시겠네요.

    아이가 어린이집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 밖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부모와의 애착과 관련된 문제일 수도 있으나 아이마다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적응하는데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어린이집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아이가 어린이집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어린이집 생활과 관련된 그림책을 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어린이집 생활 관련책: 야호! 어린이집에 왔어요. 어린이집 바깥놀이, 어린이집에서 놀아요. 어린이집 블록놀이 등)

    가정에서 안정적인 일과를 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낯선 곳에서 힘들어 했던 아이가 가정에서만큼은 안정된 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거죠.

    아이와 따뜻한 눈맞춤이나 스킨십을 하며 주양육자와 정서적 유대감을 증진시켜주고 아이에게 마사지를 해주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아이를 응원해주고 지지해준다면 마침내 잘 적응해 나갈 것입니다.


  • 어지현 육아전문가blue-check
    어지현 육아전문가23.01.28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저는 엄마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었기에 아이가 떨어지기 힘들어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아이가 엄마가 없는 환경에서 불안감이 높고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좀 필요한 아이가 아닌가 싶은데요.


    우선 집에서는 아이에게 어린이집에서 즐겁게 생활하고나면 엄마와 만날 거라고 충분히 안심시켜주시고 계속 얘기해주세요. 이야기하는 것만으로도 힘들어할 수 있는데 그 감정도 다 공감해주시고 받아주시구요.


    하지만 등원시간에 어린이집 앞에서 헤어질 때는 안타까워 쩔쩔매는 모습을 보이지말고 웃으면서 간단히 인사하시고 돌아서세요. 아이가 울어도 그렇게 하셔야합니다. 그리고 하원시간에 다시 만날 때 반갑게 맞아주시구요.

    '어린이집에서 잘 생활하면 엄미랑 다시 만날 수 있지?'라며 아이에게 확인시켜주시고 하루동안 엄마없이 잘 생활했다고 폭풍칭찬해 주세요.


    그리고 집에서 어린이집과 관련된 책, 엄마와 떨어져있어도 다시 만날 거라는 책 등 비슷한 상황의 책을 읽어주시면서 아이에게 용기를 심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제가 썼던 방법인데 엄마를 떠올릴 수 있는 사진이나 물건을 가방에 넣어주시거나 매달아주시고 엄마가 생각날 때마다 볼 수 있게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원에 적응을 잘 한 아이들도 언제나 집에서 엄마와 시간을 보내고 싶어하고 이따금씩 등원을 거부하곤 합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제 답변이 도움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어린이집에 잘 다녀오면

    선물 등을 주겠다고 하는 등 함으로써

    아이를 회유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 준비 없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보내 버리면, 모든 아가들은 분리 불안이 생길 수 있어요

    아이와 먼저 주말에라도 할머니 댁이나, 친척 집에 방문해서 낯을 익힌 후 하룻밤 정도 떨어져 보는 연습을 해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등원 시킬 때 아이에게 엄마와 잠시만 떨어져 있는 거라고 알려주고, 유치원이 끝나면 항상 엄마가 데리러 온다라는 확신을 심어줘야 아이도 덜 불안해 할겁니다.

    이럴 경우 엄마는 'ㅇㅇ야, 원에서 재밌게 놀다 오는 동안 엄마는 집에서 맛있는 간식도 준비해 놓고 장난감도 준비해 놓고 있을 테니 어린이집 잘 다녀와' 라고 아이의 마음을 안심 시키고 등원 시키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불안해 하지 않게 등/하원 때 부모님께서 밝은 표정으로 헤어지고, 아이를 맞이 해 주세요

    아이의 우는 모습으로 부모님의 표정이 불안하다면

    그 모습 마저도 아이에겐 힘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를 만난 후 "어린이집에서 잘 놀다 와서 너무 멋지다!"라는 격려의 말도 꾸준히 해 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어린이집 문 앞에서만 울고, 들어가면 바로 친구들과 신나게 논다고 합니다.

    일시적인 문제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오히려 엄마가 아이를 보내는 것을 불안해하고 힘들어하는 경우 아이가 더 힘들수도 있습니다.

    아이는 엄마의 기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엄마가 보내는 것을 힘들어 하면 아이 역시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할 수 있습니다. 아이를 믿고 아이가 새로운 세계로 나갈 수 있도록 지켜봐주세요.

    짧으면 1주일 길면 2주 정도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등원할 때 마다 운다면 많이 속상하셨겠어요.

    아이가 등원하기 싫어서 우는 속내의 뜻은 크게 딱 두가지 입니다.(6개월 이상 울음이 지속 된다면)

    1. 어린이집 내에 아이가 느낄만한 불안요소 때문에 (또래관계, 선생님)

    2. 가정환경 & 양육자의 태도

    어린이집 교실에 들어와서는 언제 울었냐는 듯 너무나 잘 놀고 하루일과 수행을 잘했다면 진짜 눈물의 의미는 ‘나 오늘은 쉬고 싶다’라는 뜻 입니다.

    그러나 어린이집 안에서도 울음이 그치지 않는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엄마와 헤어질 때만 운다면 부모의 사랑이 부족하다고 느껴서 입니다.

    부모가 주는 사랑과 아이가 느끼는 사랑은 너무 다르기 때문이지요.

    맞벌이 가정이 아니라면 아이가 심하게 오랫동안 등원거부를 할 경우 아이가 심심하다고 표현할 때까지 가정보육을 할 것을 제안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