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유연한호랑나비176
유연한호랑나비17623.08.24

24절기는 어떻게 정해진건가요?

요즘 입추가 되고 나서부터 아침 저녁으로 시원한 바람도 있꼬 .처서가 되면서 비도 오고 기온도 떨어지고 참 신기해서요.24절기는 어떤 원리에 근거해서 정해진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4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황경을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황경이란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면서 태양을 향해 기울어진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는 방향이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황경을 24등분하여 각 등분점을 기점으로 정해집니다. 춘분은 황경이 0도가 되는 시점으로, 춘분을 기준으로 15도씩 황경이 증가하면 15도 간격으로 24절기가 정해집니다. 이러한 24절기는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짓는 데 중요한 기준이었고, 농사짓는 시기를 정하고, 농사짓는 방법을 결정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절기를 기준으로 만들어 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이 절깅의 경우 중국의 기준이 우리보다 1달 빠르기 때문에 일부 안 맞는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중국에서 고안된 양력 절기 개념으로, 한 해를 24개의 기준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 중에서 입추는 그 중 하나로, 이는 천문학적 현상과 자연의 변화를 기반으로 정해진 절기 중 하나입니다.

    24절기는 한 해의 태양의 움직임과 지구의 기울기, 그리고 지구의 자전과 자전축의 고정 방향 등의 복잡한 천문학적 요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계절의 시작과 끝을 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입추는 가을의 시작을 나타내며, 태양이 남반구로 기울기를 갖게 되는 날입니다. 이로 인해 북반구에서는 낮과 밤의 길이가 서서히 줄어들게 되며, 기온이 서서히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가 식물의 성장과 동물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4절기는 중국의 관측 관례와 천문학적 이해에 근거하여 정해진 것이며, 이후에도 다양한 문화권에서 기상 및 농업 등과 관련하여 계절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지역에 맞는 절기 개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진도와 지구의 공전 주기에 따라 정해진 일본·중국의 전통적인 명절입니다.

    태양의 진도와 지구의 공전 주기에서 생기는 천문학적인 현상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계절의 변화와 농사, 생활 습관 등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천문학적 현상은 태양의 각도,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 지구의 자전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서'라는 절기는 태양이 물병자리 상좌궁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2월 4일경에 이르러 지구의 기온이 올라가는 계절의 시작을 알립니다. 이와 같이 다른 절기들도 각각 그 시기와 의미가 있으며,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를 기념하고 전통적인 행사나 음식 등을 즐기는 문화가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절기의 개념은 전 세계 공통이나, 24개라는 개수와 명칭,

    그리고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태음력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발상은 중국에서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태음력이 이미 있었음에도 태양력을 보조적으로 사용했던 이유는, 계절에 따른 날씨의 변화를 쉽게 알기 어려운 괴리감이 있었던 문제점 때문이었는데요,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해 날짜를 바로 알기는 쉬우나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기가 어려웠습니다. 농경사회였던 동아시아권에서는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고, 따라서 계절의 변화를 잘 알 수 있도록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동아시아권에서 쓰인 역법은 태음력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24절기를 부속 단위로 사용했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태음태양력으로 불러야 되겠죠.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음력 달력만으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력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 24절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과 잘 맞습니다.

    다만 24절기는 중국, 그것도 북경과 화북 지방의 기후에 맞춘 것이기 때문에 한반도의 실정과는 약간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세종대왕 때에 농사직설 등의 도서를 편찬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황경을 기준으로 구분된 기후의 표준점입니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점에 지나는 점을 기점으로 황도를 움직인 각도로,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매 15°마다 새로운 절기로 구분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