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알뜰한황새242
알뜰한황새24223.08.06

조금 있음 입추인데..24절기는 무슨기준으로 정하나요?

부산엔 폭염경보가 떨어졌어요..

근데 햇볕은 엄청 뜨거운데 바람은 좀 선선한거 같아요

조금 있음 입추라 그런거 같아요

24절기는 무슨 기준으로 정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합니다. 태양은 지구를 공전하면서 하늘에서 위치가 변합니다.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를 하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를 동지라고 합니다. 태양이 하늘에서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지는 것을 기준으로 24절기를 나누었습니다.24절기는 고대 중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고대 중국 사람들은 태양의 위치를 관찰하여 농사와 생활을 계획했습니다. 24절기는 오늘날에도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허재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이해가 더 잘됩니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과 지구의 각도 별로 24절기를 나눕니다.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 간격으로 24절기나누었눕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이며, 춘분에서 하지 사이를 봄, 하지에서 추분 사이를 여름, 추분에서 동지 사이를 가을, 동지에서 춘분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계절을 구분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한국의 전통적인 농경사와 천문학적인 요소를 기준으로 정해지는데요.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진도와 지구의 자전 등을 바탕으로 계산됩니다.

    24절기 중 하나인 입추는 대략적으로 8월 7일부터 8월 23일 사이에 위치하며, 이는 태양이 천황궁을 지나는 시점으로 정해집니다.

    입추는 한반도의 기후적인 변화를 나타내며, 여름의 끝과 가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이는 농사일정과 농경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중요한 절기 중 하나로 여겨졌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한국의 기후와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정해진 기준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농업 달력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기후는 네 계절로 나뉘는데, 각 계절의 중간 지점에 속하는 24절기가 있습니다. 24절기는 각각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중간과 중첩 지점에 해당하는 계절로 구성됩니다.

    24절기의 기준은 태양의 진도와 각 계절의 특정 천문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정확한 날짜는 해마다 약간씩 달라질 수 있으며, 대개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1. 봄철:

    • 입춘(立春): 2월 3일 ~ 5일

    • 우수(雨水): 2월 18일 ~ 20일

    • 경칩(驚蟄): 3월 5일 ~ 7일

    • 추분(春分): 3월 20일 ~ 22일

    1. 여름철:

    • 입하(立夏): 5월 4일 ~ 6일

    • 소만(小滿): 5월 20일 ~ 22일

    • 망종(芒種): 6월 5일 ~ 7일

    • 하지(夏至): 6월 21일 ~ 23일

    1. 가을철:

    • 처서(立秋): 8월 7일 ~ 9일

    • 백로(白露): 8월 22일 ~ 24일

    • 추석(추分): 9월 7일 ~ 9일

    • 한로(寒露): 9월 22일 ~ 24일

    1. 겨울철:

    • 입동(立冬): 11월 7일 ~ 8일

    • 소설(小雪): 11월 22일 ~ 23일

    • 대설(大雪): 12월 7일 ~ 8일

    • 동지(冬至): 12월 21일 ~ 23일

    이렇게 24절기를 통해 한국의 계절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농사와 농업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24절기는 한국의 전통 문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나타내는 소중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24절기는 중국 전통 달력에서 사용되는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중국의 전통 달력은 태양력과 달력을 결합한 복합적인 달력 체계이며, 24절기는 이 달력 체계에서 계절의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4절기는 한 해를 24등분하여 각 등분마다 특정한 날짜를 부여하는 것으로,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시기를 포착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태양의 움직임, 지구의 자전과 공전, 그리고 자연 현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가장 잘 알려진 24절기로는 춘분, 추분, 입추, 소서, 대서 등이 있으며, 각각 봄철, 가을철, 여름철, 그리고 겨울철의 중요한 시기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24절기는 중국의 농경문화와 자연 관찰에 근거하여 정해지고, 농사 일정과 기상 현상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24절기는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농업사회에서 사용되던 기상학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정해지는 농경과 날씨의 변화를 기록하는 단위입니다. 이러한 절기는 태양의 움직임과 지구의 자전과 회전으로 인해 일년을 24개의 기간으로 나눈 것입니다. 각 절기는 한국에서는 주로 24절기명으로 표기되며, 중국에서는 "리지" 또는 "절기"로 불립니다.

    24절기의 기준은 태양의 움직임과 지구의 자전과 회전으로 인한 계절 변화를 기준으로 하며, 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활용합니다:

    1. 태양의 움직임: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한 바퀴 도는 데 약 365.25일이 걸립니다. 이로 인해 태양의 위치와 고도가 변화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계절의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합니다.

    2. 한국과 중국의 관측 데이터: 24절기는 한국과 중국 등에서 수 천 년 동안 농업과 기상 관측을 통해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합니다. 매년 특정한 날짜에 일어나는 천문 현상과 기상 상태를 관찰하여 24절기를 정하고 기록합니다.

    3. 지구의 위치와 기울기: 지구의 자전과 자전축의 기울기로 인해 태양의 고도와 수평위치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절기가 형성되며, 계절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24절기는 기상학적인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농업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간들을 표시하는데 사용됩니다. 한국과 중국의 전통적인 문화와 농경에 깊이 뿌리를 둔 이러한 기준은 현대에도 여전히 사용되며, 계절의 변화와 농사일정 등을 예측하는 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알 수 있도록 중국에서 시작된 24절기를 사용해 왔는데, 달 모양을 기반으로 한 음력과 같이 쓰여 24절기는 음력이라는 오해가 종종 있습니다. 24절기는 달의 모양과 관련이 없고, 계절을 나타내기에 (태)양력 기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세종이 재위하던 시대에 '앙부일구(仰釜日晷)'라고 하는 해시계가 발명되었는데, 바늘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방향과 길이를 보고 별도의 계산없이 시각과 계절, 24절기를 정확히 알 수 있었습니다. 세종은 이 앙부일구를 일반인들이 왕래하는 대로변에 설치하여 누구나 시각과 계절을 알 수 있게 백성들을 배려하기도 했습니다.

    24절기는 1년을 사계절로 나누고 다시 한 계절을 6개로 배치해 총 24개로 나뉩니다. '입춘>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대한'의 순서이며 양력 날짜와 잘 맞아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의 경우 매년 양력 2월 3~4일입니다. 입춘은 양력이고, 설날은 음력이니 가끔 입춘에 설 연휴가 겹치기도 합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위치를 춘분을 기준으로 15도 단위로 나누면 24절기에 해당하는 위치가 나오는데, 각 절기의 시간적 간격은 약간씩 다릅니다. 이유는 지구가 태양을 타원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구간에 따라 공전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이지요.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로그 - 설날에 달의 모양, 양력 음력 24절기의 오해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요즘 날씨와 절기의 매칭이 잘 안맞다는 생각이 많이 드는데요

    역사적으로 절기가 도입된 중국의 기원과 현재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의 계절적인 패턴이 많이 변했기 때문으로 보여집니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24절기를 1년을 기준으로 농사,농업활동,날씨등과 연관시켜 민족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한국 전통 문화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한마디로, 한국의 기후와 농업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계절적 변화를 기준으로 나누어집니다. 음력과 양력을 기반으로 나누죠

    우리나라의 24절기는 매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후적인 변화나 농업 생활에 맞추어 조정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현재 날짜와 24절기의 시작일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24절기는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담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계절 변화와 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전해오고 있습니다.

    요약드리면..

    24절기는 오랜 역사와 전통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것이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농업 생활과 더불어 다양한 산업과 사회 생활이 발전하면서

    절기와 현대 생활과의 일치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