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서와 진료확인서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어떤게 더 저렴하게 발급할 수 있나요?
아이가 골절이라 보험사에 제출할 서류를 확인해보니 진단서나 진료확인서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어떤게 더 저렴하게 발급 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의사들이 생각할 때에 진단서를 작성할 때에는 보험관련, 법관련 법정 진단서, 다른 병원 제출용 진단서 등을 고려합니다. 보험회사 진단서는 의사들 입장에서는 첨부자료 요구가 나올 것을 생각해서 귀찮아지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오래 6개월 이상 작성해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객관적으로 봐서 허리 디스크의 경우에는 짧게 잡기도 하고 길게 잡기도 한다네요. 그래서 3개월까지 작성해준다고 합니다.
의사 입장에서는 의학적인 기준에서 과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의사 재량에 따라서 작성해주는 것입니다. 즉 진단서는 의사소견서라고 볼 수 있고 의사의 의학적기준을 판단으로 해서 재량적으로 작성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진료확인서 진료를 하였다라는 것을 증빙하는 서류입니다. 진료를 했다면 어떤 진료를 하였는지에 대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입니다. 그래서 아무래도 진단서는 의사의 의학적인 기준으로 판단하는 서류이다 보니 비용이 비쌉니다. 일반진단서가 1만원이면 진료확인서는 2천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진료 확인서가 더 저렴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둘다 진단명과 진단코드가 명기된다면 차이점은 없습니다.
저렴한 비용인 서류로 구비하여 접수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배병룡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단서는 암진단서, 뢰출혈 심근경색 진단서, 골전진단서 등과같은것을 말하고 ,진료확인서는 의사의 진료기록을 확인하는겁니다,
진단서는 발급비용이 비싸고 진료확인서는 쌉니다,
안녕하세요. 박태환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단서 or 진료확인서가 맞을가요?
그렇다고한다면 진료확인서에 진단명 ( 골절코드)가 적힌 서류를 제출하시는게 훨씬 금액이 적게 들건데
일부보험사들은 골절진단에 필수서료로 진단서를 첨부 하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승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단서는 병명에 대한 진단이고
진료확인서는 환자가 어디가 아파서 왔고 그아픈정도의 진행이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는 기록이라 보면 됩니다
그리고 비용은
진단서는 대부분 20000원을 받고
의무기록지의 경우
병원마다 다르지만
장당으로 받는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단명의 기재여부로 둘중 저렴한 서류로 발급요청 하면됩니다. 서류발급비용은 병원에서 정하기나름 입니다.
진단서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한 후 결과를 증명하는 문서이며, 진료 확인서는 진료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문서입니다.
발급비용은 비급여이기때문에 기관마다 상이하여 자세한 금액은 실비 청구 대상 병원에 문의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진단서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 후 골절이다 진단을 한 서류를 말하고 진료확인서는 마찬가지로 의사가 진료를 보았다 라는 확인서입니다. 다만 발급은 진단서가 더 비쌉니다. 의사의 진단이 있어야 보험사에 제출을 하고 보험금 청구를 할 수 있으니깐요.
도움이 되셧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단서는 정확한 병명과 치료 기간을 명시한 반면, 진료확인서는 방문 사실만 확인해주는 서류입니다. 보험 청구 시 진단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료확인서는 진단서보다 발급 비용이 저렴하거나 무료일 수 있으나, 병원마다 다릅니다. 보험사에 확인 후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료확인서가 더 저렵합니다. 진단서는 좀더 비싸긴한데요.
보험사에서 진단자금 (예컨대 골절진단비)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단서는 질병이나 상해의 진단를 기록한 서류이고 진료기록지는 진료나 치료를 기록한 서류로 진단서 발급비용이 비쌉니다 진료기록지는 복사해줍니다 병윈에 따라 비용은 다를 수 있습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