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년 우리나라 경제 전망이 궁금합니다

경제가 요즘 하도 안좋은 상황인데

2023년이나 2024년엔 경제가 어떻게 될것 같은지 전문가들의 내년 후년 앞으로의 경제 전망을 어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류경태 경제전문가
    류경태 경제전문가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3년도 우리나라 경제 상황은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의해서 심각한 경제 위기 및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개인부채 1,900조원과 변동금리 비율이 80%이상

    • 태양광대출 17조 6천억원 중 변동금리 비율 90%

    • 부동산 침체로 인한 PF대출의 부실화 가능성

    • PF대출의 부실화로 인한 저축은행, 캐피탈, 증권사의 부도 가능성

    • 인플레이션 상승

    • 유럽의 경기침체 및 중국 경제상황 악화

    • 미국의 IRA법, 반도체법 악영향

    내부적으로는 금리 상승으로 인해서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해서 PF대출부실화와 이로 인한 건설사, 금융권의 부실화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개인들과 기업들의 부채가 높은 만큼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를 지급하지 못하는 한계기업과 저소득 개인층의 부실화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더해 외부적으로는 우리의 주력 수출국가들이 경기침체에 빠지면서 수출실적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경우는 자국보호주의 성격의 법들로 인해서 우리나라의 제조업 공정들이 미국에 점차적으로 이전되어 실업률이 증가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과거 IMF나 외환위기 보다 위험하다고 하는 이유로 지금 위기는 내부와 외부가 모두 위기인 상황이라서 내년 경제 상황은 그 어떤 시기보다 위험한 시기로 보고 최대한 가정은 긴축재정을 통해서 비용을 줄이고 대출을 줄여 놓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3년까지는 당분간 경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준이 금리인상을 계속할 것으로 보이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등 경기 자체는 좋지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2024년은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3년의 경우 '22년과 동일하게 긴축의 해가 될 듯 합니다.

    미국연준은 상반기까지는 금리를 올릴 예정이고 우리나라의 경우 속도가 느리기에 '23년내내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연준의 피봇팅이 '23년 중에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도 '24년에는 금리인상을 멈추거나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경제는 금리인상 = 경기침체, 불황 / 금리인사 = 경기활황, 호황 으로 이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3년에도 국내 경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경기 둔화, 국내외 통화긴축, 환율 및 물가 불안 등과 같은 리스크 요인들이 상존한 가운데 성장세 둔화를 경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