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형 물류거점이 무역 물류에는 주는 장점과 유의점은 무엇인가요?
도심형 물류거점은 라스크마일 배송 효율성과 물류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지만, 부지 확보와 지역규제 문제가 큽니다. 무역기업 입장에서 도심형 물류 거점 도입 시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무역기업의 입장에서는 라스트 마일을 크게 이용하지 않을 듯 합니다. 다만 쿠팡과 같이 원스탑 물류를 꿈꾸는 회사라면 이러한 라스트마일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도심형 물류지점을 건설하기 위하여는 각 지역별 연계에 대하여 처음부터 세밀하게 설계를 하여야 됩니다. 권역이 겹치는 곳이 없고 각 지점별로 균등하게 물량을 나누기 위해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도심형 물류 거점은 라스트 마일 배송을 신속화해 결국 고객만족도와 물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무역기업의 경우 부지 확보의 어려움(비싼것을 포함해) 지역 규제, 환경 교통 문제 등 복합적 리스크를 사전 점검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결국 비용과 효율성 사이에서 저울질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도심 안에 물류 거점을 둔다는 건 소비자랑 물리적으로 가까워진다는 뜻이라서 배송속도 자체가 다르게 나옵니다. 특히 항공화물처럼 시간 민감한 수출입 물품이나 D2C 기반의 무역 스타트업에는 큰 이점이 됩니다. 하지만 막상 실무에서는 부지 확보가 가장 버겁습니다. 물류창고 용도 변경이 쉽지 않고 지자체마다 입지 규제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 상업지처럼 마음대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또 하나 놓치기 쉬운 부분은 차량 진출입입니다. 수입컨테이너 들어올 때 한 번에 처리 안 되면 정체되고 벌차료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제 기준에서는 통관창고 기능까지 묶어서 검토하지 않으면 단순 입지 확보만으론 실익이 크지 않다고 봅니다. 도심형이 갖는 물류 효율은 확실하지만 제약도 만만치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도심형 물류거점을 도입할 때는 교통 접근성과 주요 소비지까지의 배송 시간 단축 효과를 먼저 따져봐야 합니다. 하지만 도심 내 부지 임대료가 높고 지역별 건축 규제나 환경 규제가 까다로워 예상보다 비용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대형 차량 진입 제한, 소음분진 규제, 주민 민원 대응도 부담 요인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물류 자동화 설비와 소형 차량 활용 계획을 함께 세우고, 지자체 인허가 절차와 지원 정책 여부를 미리 확인해 진행하는 것이 실무상 안전한 접근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