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전셋집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고 전세방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전셋집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고 전세방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세방(傳貰房)'은 고유어가 들어가지 않는 한자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으며, '전셋집(傳貰집)’은 전세는 한자어고 '집'은 고유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이 들어갑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선 사이시옷 표기가 왜 필요한지 파악하기 위하여 두 단어가 결합한 합성어의 된소리가 어떻게 표기되는지에 따라 삿이시옷이 표기됩니다. ‘전세+집’은 그 발음이 ‘전세찝’이므로 ‘전셋집’으로 표기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합성어의 뒷 단어가 된소리로 발음되더라도 충족 조건과 예외가 있습니다.

      맞춤법의 규정은 다음과 같이 ①∼④의 네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 적용되며, ④-1은 예외됩니다.

      ① 두 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

      ② ㄴ(또는 ㅥ) 소리가 덧나거나, 뒤에 오는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뀐다.

      ③ 앞에 오는 단어가 모음으로 끝난다.

      ④ 고유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의 합성어다.

      ④ -1 한자어+한자어라 할지라도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의 여섯 단어는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적는다.

      이상과 같은 조건에서 제시어의 '전세방'은 '전세'와 '방'이 모두 한자어 합성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고 '전세방'으로 표기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이시옷은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합성어가 아닌 단일어나 파생어에서는 사이시옷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 합성이면서 음운론적 현상이 나타나야 하는 경우에는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뒷말의 첫소리 ㄴ,ㅁ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뒷말의 첫 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

      또, 합성어를 이루는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고유어이어야 하고 구성 요소 중 외래어도 없어야 합니다.

      전세방은 전셋방으로 잘못 쓰는 일이 많으나 여기에는 고유어가 들어가 있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습니다.